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이썬 (Python) 공부 - 정수와 실수

IT & Programming/파이썬 (Python) 공부

by 그림아이 2022. 4. 25. 02:00

본문

반응형

Python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산수와 매우 유사한 형식으로 사칙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연산공식
연산 명칭 연산 예제
더하기 a+b
뺄셈 a - b
곱셈 a*b
나누기 a/b
a//b
나머지 a%b
거듭제곱, 지수 a**b

 

곱셈과 나눗셈 기호가 ✕나 ÷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키보드에 없으니 당연하고 프로그램 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와 /가 사용됩니다.

10  *  20
200

a % b라는 식은 a을 b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5  %  3
2
10  %  2
0

음수 값은 숫자 앞에 -(빼기) 기호를 붙여서 설명합니다.

- 100
-100

다음 공식은 양수 100와 -99의 더하기입니다.

100  +  -99 _
1

제대로 계산할 수 있지만 보기가 조금 어렵습니다. 이럴 때는 괄호를 붙여

100  +  ( -99 ) _
1

라고 쓰면 실수하지 않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a ** b는a^b을 계산합니다.

10  **  3
1000

실수(float형)

지금까지 나온 숫자는 모두 1, 2, 3, ... 와 같은 정수 뿐이었습니다.

정수가 아닌, 1.5같은 실수를 사용할 때는 소수점을 붙여 기술합니다.

0.1
0.1

Python에서 실수는 부동 소수점 (floating point number) 형식으로 float 유형 이라고합니다.

소수점 이하가 0라도 소수점이 붙어 있으면 정수는 아니고 float형입니다.

100.0
100.0

정수와 float 형

정수 값과 정수 값을 계산하면 결과는 정수입니다.

10  +  20
30

정수와 float 유형의 값을 계산하면 결과는 float 유형입니다.

10  +  20.0
30.0

나눗셈의 결과는, 정수끼리의 나눗셈에서도, float형이 됩니다.

2/3
0.66666666666666666

3 / 3와 같이 나누어지는 경우에서도, 대답은 정수 1가 아니고, 소수점 이하가 0의 float 형이 됩니다.

3/3
1.0

정수 나누기

/기호가 아닌 //기호로 나누면 결과는 소수점 이하를 잘린 정수 값, 즉 몫이 됩니다. //를 사용한 나눗셈을 정수 나누기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3 / 2하지만 1.5,

3/2
1.5

정수 나누기( 3 // 2)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잘라 1냅니다.

3  //  2
1

float형끼리의 정수 나누기에서도, 소수점 이하는 잘림이 됩니다. 통상의 나눗셈 3.0 / 2.0은 1.5됩니다만, 정수 나누기의 경우는 1.0됩니다.

3.0  //  2.0  
1.0
 
 
즉, 다시 말하면 /는 나누기, %는 나머지, //는 몫을 구하는 연산자입니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프로그래밍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