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정보] 2022년 1월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잡학다식 & 자료 창고

by 그림아이 2022. 3. 6. 23:00

본문

반응형

집은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곳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은 중요한 투자의 수단이고 때로는 투기 목적으로 매매하기도 합니다. 둘 중 어떤 경우든 내가 산 집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용납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부동산 시장은 비정상적이고 거품이 매우 많다는 점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내 집만은 값이 떨어지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집은 지은 순간부터 감가상각으로 인해 가치가 떨어져야 하지만 사회경제적인 요인 때문에 가치가 오르기도 합니다. 자신이 뭔가 잘해서 가치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 개발 호재 등으로 인해 가치가 오르니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의해서 오른다고 말합니다. 그러니 정부 입장에서는 SOC 등 인프라에 투자한 만큼 집값이 오르니 집값에 매겨진 이익을 당연히 세금이라는 명목으로 나누고 싶어하고, 집주인 입장에서는 내 돈을 빼앗긴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은 엄연히 수요와 공급이 존재하는 시장이지만 국가적으로 불로소득을 용인해주기는 어렵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영원히 오를 수는 없으므로 국민들이 급격한 등락에 의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래서 금리와 대출 규제 등으로 지속적으로 시장에 시그널을 보내고 있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시장은 꿈쩍도 하지 않고 상승 일변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인 부동산 상승 현상은 모두 코로나-19 사태가 한 몫을 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시장에 돈이 한꺼번에 너무 많이 풀린 탓입니다.

 

반응형

 

이로 인해 저 같이 집을 살 타이밍을 놓친 중장년 층과 이제 사회에 나온 청년들의 볼멘 소리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갑자기 10억원이나 되는 집을 어떻게 사겠습니까. 대출 규제 완화해서 은행에서 10억원을 빌려줘도 문제입니다. 이자가 감당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저로서는 거품이 꺼져서 제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집값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수많은 집주인들이 눈물을 흘려야 하니 그것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어쨌든 언젠가 집은 사야 하고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을만한 데이터를 찾아봤습니다. 그러던 중 한국부동산원에서 정기적으로 배포하고 있는 자료를 찾았고 많은 분들께 공유 드리면서 저도 함께 관심 갖고 공부를 하면서 지켜볼 생각입니다. 원본 링크는 아래 주소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 바로 가기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동산 통계, 지가, 월세, 전세, 매매 가격 동향 안내.

www.reb.or.kr

 

월간 단위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보고서와 통계표를 발표하고, 주간 단위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조사 통계표와 주간아파트가격동향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보고서와 통계표를 한국부동산원에서 이해하기 쉽게 인포그래픽으로 작성한 것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2022년 1월 현재 전국의 주택 가격 동향을 가늠해 보실 수 있습니다. 신문 기사도 참고하시고 다양한 데이터를 참고하시면서 추가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조사 결과

 

변동률은 하락 추세지만 전국 주택 가격은 전체적으로 상승 중입니다. 하락하고 있다는 신문 기사들도 있는데 일부에 불과하고 전체적으로는 소폭이지만 상승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