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필기 공부 자료 3부

에너지 & 전력시장

by 그림아이 2022. 3. 14. 02:00

본문

반응형

2021년 1월 1일부터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자격증 공부를 시작해서 2021년 6월 2일 최종 합격 통보를 받았습니다. 2021년 1차 시험에 도전했고 필기와 실기 두 번에 걸쳐 시험을 봤고 4월말에 실기시험이 있었으니 딱 4개월 잠자는 시간과 노는 시간 줄여서 공부에 매진했었습니다. 네이버 카페에 가입해서 공부하는 틈틈이 많은 분들께 도움을 많이 받아 저도 후기를 짧게라도 남겨야 다음 분들이 도움 되시지 않으실까 남깁니다.

 

저는 전공이 전기가 아니고 토목인데 태양광 업계에 있어서 공부를 해두면 두고두고 도움이 될 것 같아 준비했고요. 딱 4개월 준비했고, 교재는 동일, 인강은 수도였습니다. 워낙 전기쪽 이론이 약해서 60~70개 넘는 인강을 졸면서 정주행했고요. 1월 한달을 인강에 바쳤습니다. 인강하면서 필기 공부는 끝냈고, 필기 시험 일주일 전에는 기출문제만 달달 외우고 70점으로 시공부분 과락 간신히 면하고 운좋게 합격했습니다.

 

실기는 2월부터 준비해서 3월말에 기출문제 정리해서 외우는 것은 끝났고 4월 한달 동안 혼자서 기출문제로 시험만 봤습니다. 혼자 답안 작성한 이면지가 150장 정도 되더군요. 문제는 인버터 용량, 모듈 경년 감소율, 가로 및 세로깔기 등 여러 고수님들의 조언에도 결론이 안난 부분에 대해서는 내가 생각한대로 쓰고 틀리면 쿨하게 인정하자고 마음 먹었습니다.

 

결과는 부분점수 포함 85점이었습니다. 기분이 너무 좋았습니다. 48살의 나이에 자격증 공부에 도전해서 단 번에 합격하다니 '나의 뇌가 아직은 쓸모가 있구나' 하는 생각에 기분이 너무 좋았습니다. 시험 볼 때 '이거 이러다가 만점 받는 거 아냐?' 라고 생각할 정도로 자신있게 시험을 봤습니다. 그러나 역시 실수와 착각이 잇따라 나오면서 점수가 좀 깎였습니다. 사람이 자만하면 안 되는 데 막상 시험볼 때는 그런 생각이 안 들더군요.

 

회사를 다니면서 자격증 공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안 해본 사람은 모릅니다. 15년 전에 미국토목기술사 공부할 때 정말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그래도 그때 공부한 경험이 아직 몸에 남아 있었는지 어렵지 않게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하루에 몇 시간 정도 공부했느냐면, 새벽 4시에 일어나 1~1.5시간, 출퇴근 길에 지하철에서 각각 1시간, 집에 와서 잠자기 전에 2시간, 총합 하루 5시간 정도 공부했습니다. 지하철에서 흔들리며 계산 문제 푸는 것도 한 두번 하면 금방 적응 됩니다. 그리고 저녁에 술을 먹으면 그날 공부는 꽝이고 주말에 몰아서 12시간 이상 공부에 쏟아 부었습니다. 출장 갈 때는 책을 몰래 가방 구석에 넣어 두고 볼일 다 보고 숙소로 돌아와 자기 전에 또 공부했습니다.

 

사람이 절실하면 다 하게 되어 있습니다. 경험상 자격증 공부는 투입 공부 시간과 정확히 비례합니다. 

 

공부하면서 메모한 것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기출 문제들은 저작권이 있어 여기에 업로드할 수는 없고 기출 문제에 대해 암기하기 위해 정리한 것들을 공유 드리니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20172

○ 단독운전발생 주파수 계산 :

1일 전력수용량 산정 수식 = 1일 전력소비량 X 1.2

○ 한전 계통에 이상이 발생 후 분산형 전원이 재투입하기 위해서는 한전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가 정상범위로 복귀 후 5분간 유지해야 한다.

○ 순시전압변동률

- 1시간 2회 초과~10회 이하 : 3%

- 14회 초과, 1시간 2회 이하 : 4%

- 14회 이하 : 5%

Δ결선에서 제3고조파는 순환하면서 열로 소비시키므로 유도장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 접지공사 시 접지극 이격거리 : 철구조물과 1m, 타접지극과 2m

○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적용하는 피뢰방식 : 돌침 방식, 수평도체 방식, 복합 방식, 이온화 방식, 케이지 방식 ( 회전 구조체 방식은 고층 건물에서 사용)

○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의 옥외 설치 시 IP44 이상, 실내는 IP20 이상 등급을 적용해야 한다.

○ 전력계통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 사고 시 모선 분리 방식 채용, 발전기와 변압기의 임피던스를 크게 한다 (단락전류와 임피던스는 반비례하기 때문), 계통 간을 직류 설비 등 특수한 장치로 연계한다, 계통을 분할하거나 송전선 또는 모선 간에 한류리액터를 삽입한다.

○ 박막 태양광발전 모듈은 광조사 시험 후 STC 조건에서의 최대 출력 측정값이 제조자가 표시한 정격 출력 최소값의 최소 90% 이상이어야 한다.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전 시 조작 방법

- VCB 전압 확인, 접속함, 인버터의 DC 전압 확인, DC 개폐기 ON, AC 개폐기 ON, 5분후 인버터 동작 확인

○ 태양전지 어레이의 출력 확인 시험 중 개방전압 측정 순서

- 계통분리 (접속함의 주 개폐기 off), 태양전지 어레이 분리 (DC 입력 개폐기 off), 모듈 음영 여부 확인, 시험 모듈 개폐기 on, 측정기 설치

○ 태양광발전용 접속함의 환경시험 중 충격시험에서의 시험 조건

- 정현파, 가속도 500m/s2, 공칭펄스 11ms, 상하 방향 각 3

○ 소형 태양광 발전용 3상 독립형 인버터의 경우 부하 불평형 시험 시 정격 용량에 해당하는 부하를 연결한 후 U, V, W상 중 한 상의 부하를 0응로 조정한 후 30분 동안 운전한다.

○ 인버터의 효율 시험 : Euro 변환 효율로 측정, 운전시작 후 최소 2시간 이후 안정된 상태로 효율 측정

구분 30kW 이하 100kW 이하 100kW 초과
계통연계형 90% 92% 94%
독립형 88% 90% 92%

○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발전 모듈의 성능을 시험하는 시험장치 : 항온항습 장치, 염수분무 장치, 우박시험 장치

○ 태양광 발전소의 성능 평가 : 발전성능, 신뢰성, 경제성

○ 태양전지 전선-대지 (태양전지-접지선) 간 절연저항 : 0.2 MΩ

- 접속함, 인버터 전선-대지 (접속함, 인버터-접지선) 간 절연저항 : 1 MΩ

○ 고압의 계기용변성기의 2차측 전로는 제3종접지공사를 한다. (특고압인 경우 제1종접지)

○ 저압전선로의 절연저항 (전선-전선, 전선-대지 외함접지)

- 사용전압에 대한 누설전류는 최대 공급전류 (정격전류)1/2,000을 넘으면 안된다.

○ 접지 방식별 절연내력 시험전압

- 비접지 : 7kV 이하 – 1.5, 7kV 초과 – 1.25

- 중성점 접지 : 60kV 이상 – 1.1

- 중성점 직접접지 : 60kV~170kV : 0.72, 170kV 초과 0.64

- 25kV 이하 중성점 다중접지 : 0.92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공용화 품목의 개발, 제조 및 수요, 공급 조절에 필요한 자금의 80%까지 중소기업자에게 융자할 수 있다.

○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 전선의 세기를 최소 20% 이상 감소시키지 않아야 한다. (80% 이상 유지)

○ 등록사항의 변경신고를 하려는 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전기공사업 등록사항 변경신고서에 등록증 및 등록수첩과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지정공사업자단체에 제출해야 한다.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혼합의무자에게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시설에 대한 자료 제출 요구

- 연료 혼합시설 현황, 연료 혼합시설 변동사항, 연료 혼합시설의 사용실적

○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에 표기되는 공급량 계산 시 적용되는 가중치 결정의 고려사항

- 환경기술개발, 산업 활성화, 온실가스배출 및 저장, 전력수급 안정, 발전원가, 지역주민 수용 정도, 부존 잠재량

 

20174

○ 기전력 

○ 직류 (DC) 측의 피뢰소자 SPD 중 어레스터 (접속함, 분전함에 설치)는 방전내량이 크고, 서지옵서버 (모듈 단자함에 설치)는 방전내량이 작다. 상용주파변압기 내부에 내뢰트랜스는 교류 (AC) 측에 설치.

○ 태양광발전용 축전지의 방전심도 (DoD)와 이용률은 수명 및 잔존용량과 반비례한다.

순시 정현파 교류전압 

○ 태양광 모듈 표면의 황변현상은 태양광 모듈 내부의 충진재 (EVA)가 자외선과 화학반응하여 변색되는 것을 말한다.

○ 인버터의 부하가 인덕턴스인 경우 스위칭 소자가 ON-OFF 시 인덕턴스 양단에 나타나는 역기전력에 의한 스위칭 소자의 내전압을 초과하여 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의 소자는 환류 다이오드이다.

○ 전압강하식

○ 피뢰침 (외부피뢰시스템) :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으로 구성

3000kW 미만의 전기사업허가신청서에 포함되는 필요서류 목록 (시도지사)

- 사업허가 신청서, 사업계획서, 송전계통일람도, 기술인력확보계획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 표제란 : 도면의 작성 및 관리에 필요한 정보 (도면명, 도면번호, 축척, 작성자 서명 등)를 모아서 기재한 것

모듈 직렬연결수=인버터 입력 최대값 / 태양전지 최대 전압

○ 동기 조상기 : 전력계통의 전압을 조정하는 조상설비 중 진상 또는 지상 모두 무효전력 조정이 가능. 3권선변압기에서 동기 전동기 무부하운전 시 역률 조정

○ 적설하중 = 기본계수 X 노출계수 X 온도계수 X 중요도 X 지상적설하중기본계수 X 지붕의 경사도

○ 계측 표시장치 : 발전량 계측, 기기 및 시스템 운용상태 평가, 교육 홍보, 환경 정보 데이터

○ 사업허가 변경 신청 처리 절차 : 신청서 작성 및 제출, 검토, 접수, 전기위원회 심의, 변경허가증 발급

○ 운용지원비 :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자료의 수집, 기술의 연수, 보전기술개발의 제반비용 등으로 구성되는 유지관리비의 항목. 운용 및 유지보수의 간접비 항목.

○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 9가지 : 구조시험, 절연성능시험 (절연저항측정시험, 내전압시험, 감전보호시험, 절연거리시험), 보호기능시험, 정상특성시험 (효율시험, 온도상승시험, 누설전류시험), 과도응답시험, 외부고장시험, 내전기환경시험, 내주위환경시험, 전자기적응성시험

○ 인버터에 누전이 발생했을 경우 인버터에 표시되는 내용 : Inverter ground fault (절연이 파괴되어 땅으로 지락전류가 흘렀다는 의미, 즉 지락사고 발생)

○ 절연시험 시험기재 : 온도 및 습도계, 단락용 개폐기, 절연저항계 (메가)

○ 인버터의 정상특성시험 시 누설전류는 최대 5mA 이하여야 한다.

○ 접속함의 시험 항목 : 절연특성시험, 온도상승시험, 내부식성시험

○ 태양광발전시스템 점검 종류 : 일상점검, 정기점검, 임시점검

○ 전기공사업법을 위반하여 경력수첩을 빌려 준 사람 또는 타인의 경력수첩을 빌려서 사용한 자의 벌칙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다.

○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는 공급한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하고, 신청을 받은 공급인증기관은 30일 이내에 발급해야 한다.

○ 공급의무자 : 500,000kW 발전설비를 갖춘 발전회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 발전사업자 및 전기판매사업자는 전력시장운영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전력시장에서 전력거래를 해야 하는데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최대 1,000kW 이하의 발전설비용량을 이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거래하는 경우는 그러지 아니하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저압의 기계 기구를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그 기계 기구의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면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 (지락차단장치 ELB)를 설치해야 한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전로의 중성점 접지의 목적

- 대지전압 저하, 이상 전압 억제, 전로 보호장치의 확실한 동작 확보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주택의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 측 옥내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한 경우,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은 직류 600V 이하여야 한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고압 가공전선 상호 간의 이격거리는 최소 80cm 이상이어야 한다.

○ 전기설비기술기준 중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전자계는 지표상 1m에서 전계가 3.5kV/m 이하, 자계가 83.3μT 이하가 되도록 시설하는 등 상시 정전유도 및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사람에 의하여 사람에게 위험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해야 한다.

○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에 관한 계획을 협의하려는 자는 그 시행 사업연도 개시 4개월 전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20181

○ 개방전압

태양전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 전압

- 태양전지 흡수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밴드갭 에너지에 따라 변화한다.

- 태양전지의 두 전극 사이에 무한대의 부하를 연결한 경우, 두 전극 사이의 전위차다.

출력전력이 최대일 때 (부하가 연결되었다는 의미), 태양전지의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위차는 운전전압.

○ 싱글플래시발전 : 지열발전에서 지열유체가 증기와 열수인 경우 지열유체를 증기분리기로 유도하여 증기와 열수를 분리하고 분리한 증기로 터빈을 가동시켜 발전하는 방식

○ 피뢰기 구비 조건

-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이 높아야 한다.

- 충격 방전개시전압이 낮아야 한다.

- 제한전압은 낮아야 한다.

- 방전내량이 크고 속류차단능력이 커야 한다.

○ 변압기형 인버터의 절연저항 측정순서

- 태양전지 회로를 접속함에서 분리

- 분전반 내의 분기 개폐기 개방

- 직류 측의 모든 입력단자 및 교류 측의 모든 출력 단자를 각각 단락

- 직류 단자와 대지 간의 절연저항 측정

1 Ws = 1 J, 1 kWh = 3.6 MJ = 860 kcal

○ 축전지 부착 계통연계형 시스템

- 방재 대응형 : 정전 후 비상전원 공급

- 부하 평준화 : 하절기 피크 전력 관리

- 계통 안정화 : 계통전력이 높을 때는 축전지에서 방전, 태양광발전소 전력이 높을 때는 축전지에 충전

○ 분산전원의 저압 계통의 병입 시 순시 전압변동률은 최대 6%를 초과하면 안된다. (상시 3%)

○ 전기사업용 전기설비의 공사계획 인가 또는 신고 시 산업통상자원부의 인가가 필요한 발전소 출력 기준은 10,000kW 이상이다.

○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코로나 현상 방지 대책 (공기 절연 파괴로 약한 빛과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 전류의 누전, 전선로 또는 애자 부근에서 주로 발생)

- 전선의 직경을 크게 한다. 복도체나 다도체 사용. 가선 금구를 개량.

○ 설계감리보고서는 준공시 제출서류인 것은 맞으나, 감리기록서류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 직류전선로는 비접지로 접지하지 않는다.

○ 부하개폐기 (LBS)에는 절연유가 없다.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최소 1회 이상 전기안전 관리업무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 발전소에서는 변압기의 역률에 대한 계측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변압기의 역률은 수용가에서 필요.

○ 리플프리직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성분이 실효값으로 10% 이하 포함한 직류를 말한다.

○ 연료전지 :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 변전소란 변전소의 밖으로부터 전압 50,000V 이상의 전기를 전송받아 이를 변성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 또는 전기의 성질을 변경시키는 것을 말한다.)하며 변전소 밖의 장소로 전송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변압기와 그밖의 전기설비 전체를 말한다.

○ 전기사업자는 매년 12월 말까지 계획기간을 3년 이상으로 한 전기설비의 시설계획 및 전기공급 계획을 작성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신에너지 :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산사유

- 재생에너지 : 태양에너지, 수력, 풍력, 지열, 해양 (조력, 조류, 파력, 온도차), 바이오, 폐기물 에너지

 

20182

P형 반도체 도핑 : 진성 반도체 (4) + 불순물 (3, 붕소, 알루미늄, 갈륨, 인듐)

- N형 반도체 도핑 : 진성 반도체 (4) + 불순물 (5, , 비소, 안티몬)

○ 축전지의 수명 (충방전 cycle)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 방전심도, 방전횟수, 사용온도

○ 비정질 실리콘 모듈의 충진율 (FF) : 0.56~0.61

- 결정질 실리콘 전지의 충진율 : 0.7~0.8

- 갈륨-비소 (GaAs) 화합물 전지의 충진율 : 0.75~0.85

○ 결정질 태양전지의 에너지 손실 : 장파장 에너지 손실 > 단파장 > 반사와 차광 > 재결합 > 직렬저항

○ 전하량 Q = C (콘덴서의 정전용량) X V (전압)

○ 갈륨-비소 (GaAs) 화합물 전지의 특징

- 내부에서 재결합이 일어나지 않는 직접천이형으로 태양광 흡수율이 높다

- 뒷면 재결합율이 적다

- 밴드갭 전압 1.4eV, 단일 전지 최대 효율

○ 인버터 회로의 특징

- 직류를 교류로 변환, 부하는 교류 부하여야 한다

- 인버터의 종류 : 전압제어형, 전류제어형

- 인버터의 전류 : 자력식, 타력식

○ 분산형 전원의 전기 품질 : 중앙 급전 방 식으로부터 분리, 수용자 근처에서 공급 전원,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 역률 90% 이상 유지, 총합 고조파 5% 이하 (각 고조파 3% 이하), 직류 유입 제한 (0.5% 이하)

○ 태양광발전소 부지선정 절차 : 지역설정 현장조사 지자체 방문 공부확인 토지이용 협의 및 소유자 파악

○ 한국전력공사의 22.9kV 배전선로와 연계하는 발전사업자용 태양광설비를 계획 시 연계하려는 선로 및 계통에서 한국전력설비 및 배전선로에 대해 검토해야 할 사항

- 계통연계를 위한 변압기, 변전소, 배전선로의 총 발전설비용량 확인

○ 표준계약서의 붙임 서류 : 입찰유의서, 과업내용서, 산출내역서, 용역조건

○ 전기안전관리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자의 요건 중 개인장비 (시행령에 규정됨) : 절연저항 측정기, 접지저항 측정기, 저압/고압/특고압 검전기, 클램프미터

○ 인버터의 출력 측 절연저항 측정 순서

- 태양전지 모듈 (회로) 분리

- 분전반의 분기 차단기 개방

- 직류 측 단자, 교류 측 단자를 각각 단락

- 점검 (선로-대지간)

○ 중대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를 실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경우 충전부가 갖는 보호벽 표면이 고체 침투에 대한 보호 등급은 최소한 IP 20 등급 이상이어야 한다. (실내 : IP 20, 실외 : IP 44)

○ 수변전설비의 변류기 (계기용변류기, CT)안전진단 시험항목 : 변압기로 분류되므로 극성시험, 변류비 및 권수비 등의 ratio 시험, 포화시험

- 계기용 변류기 : 대전류를 측정이 가능한 정도의 소전류로 낮춰주는 역할

○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최대 정격 출력 전류의 0.5%를 초과하는 직류 전류를 배전 계통으로 유입시켜서는 안 된다.

○ 고압용 또는 특고압용 개폐기로서 중력 등에 의하여 자연히 동작할 우려가 있는 것은 자물쇠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추가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와 운용 중 개방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 특고압 배전선로의 가공지선은 피뢰설비이므로 별도의 피뢰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TN-C-S 접지공사 시 보호도체 단면적 : 구리 10mm2 이상, 알루미늄 16mm2 이상

○ 접지측전선, 접지선, 중성선에는 개폐기, 차단기 등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상 전류를 막을 방법이 없어지기 때문.

○ 전기공사업자의 등록 취소

- 거짓 또는 허위로 공사업을 등록한 경우

- 타인에게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 준 경우

- 공사업의 등록을 한 후 1년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않은 경우

- 영업 정지 기간 중 영업 개시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의 기본원칙에 따라 20년을 계획 기간으로 하는 기후 변화 대응 기본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 교류전압의 고압 범위 : 1000V 이상, 7000V 이하 (2021년 개정)

 

20184

○ 에너지 밴드 전압 Eg=(플랑크상수 X 빛의 속도) / 파장 (플랑크상수=4.136X10-15, 빛의 속도=2.99X108m/s)

○ 세류충전 : 축전지 충전방식 중 자기방전량만을 항상 충전하는 방식

- 보통충전 : 필요시, 표준시간율로 충전하는 방식

- 급속충전 : 단시간, 충전전류 2~3배 충전하는 방식

- 균등충전 : 정전압으로 충전하는 방식

- 부동충전 : 부하와 축전지를 동시에 충전하는 방식, 가장 일반적인 방식

PN접합 다이오드 : P영역의 정공과 N영역의 전자는 확산에 의해 각각 N영역 및 P영역으로 이동한다.

○ 수직축 풍차의 종류 : 사보니우스 풍차, 다리우스 풍차, 크로스플로 풍차, 패튼 풍차

- 수평축 풍차의 종류 : 프로펠러형 풍차, 셰일윙형 풍차, 더치형 풍차

○ 전지의 종류

- 1차전지 : 충전이 안되는 전지. 망간, 수은, 알카라인

- 2차전지 : 충전이 가능한 전지. 납축전지, 리튬이온전지, 니켈-카드뮴/수소/폴리머 전지

○ 유리계면에 태양광 에너지가 입사될 경우 태양광 에너지의 반사율

○ 에어매스 (AM, Air Mass)의 정의 : 지구 대기에 입사한 태양광이 통과한 대기 노정의 길이

○ 감리업자가 감리용역 착수 시 발주처에 제출하는 착수신고서에 포함되는 서류

- 감리비 산출내역서, 감리업무 수행계획서, 상주, 비상주 감리원 배치계획서

○ 송전선로의 선로정수 : R(저항), L(인덕턴스), C(정전용량), G(누설컨덕턴스)가 균등분포된 전기회로

○ 금속덕트에 넣는 전선 (전력 케이블)의 단면적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20% 이하, 제어 케이블의 경우 50% 이하로 해야 한다. (전선관의 경우 동종 48% 이하, 이종 32% 이하)

○ 접속함 설치시 역류 방지 다이오드의 용량은 모듈 단락전류의 1.4배 이상으로 한다.

○ 건축물에 태양광발전 설치방식 중 개구부의 블라인드 기능을 보유하고, 건축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방식은 루버형이다.

○ 전압변동에 의한 플리커 현상의 경감대책

- 전원 계통에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은 직렬콘덴서 방식이 있다.

-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방법은 상호 보상 리액터 방식이 있다.

- 부하와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식은 사이리스터 이용 콘덴서 개폐 방식이 있다.

- 플리커 부하 전류의 변동분을 억제하는 방식은 직렬리액터 방식이 있다.

○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의 운전, 조작, 또는 이에 대한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것이 아닌 감독을 수행한다.

○ 전기사업의 허가기준(4)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급능력이란 해당 특정한 공급구역의 전력수요의 60% 이상의 공급능력을 말한다.

○ 전기안전관리자의 점검횟수 및 점검 간격

용량 점검횟수/ 간격
300kW 이하 1 20
500kW 이하 2 10
700kW 이하 3 7
1500kW 이하 4 5
2000kW 이하 5 4
2500kW 이하 6 3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명세서에 포함되는 사항

- 명세서에 관한 품질관리 절차, 업체의 규모, 생산설비, 제품원료 및 생산량, 생산공정과 생산설비로 구분한 온실가스 배출량, 종류 및 규모

○ 전기판매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기요금과 그 밖의 공급조건에 관한 약관을 작성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인가를 받아야 한다.

○ 저압선로 중성선 (단상 3선식, 34선식)의 접지선 : 6mm2 이상

○ 정부는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제적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국가의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2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 시행하여야 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