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발표자료
2. 건설산업의 환경 분야의 주요이슈와 대응방향(이홍일)
□ 행사 :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 발표 : 2023. 11. 7.
□ 형식 : pdf 49+41+45 page
□ 주최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제2주제_건설산업의 환경 분야의 주요이슈와 대응방향(이홍일)
건설산업의 ESG 환경분야 중요성
건설산업의 ESG 환경분야 주요 이슈
건설산업의 ESG 환경분야 이슈 대응방향
• 주요 글로벌 규범 및 선행연구를 참조할 때 환경분야는 가장 중요한 ESG 분야
• 2022 년 기준 국내 기업들의 ESG 이슈에 대한 중대성 평가를 취합한 결과 , 환경분야의 중요성 부각
• 기후위기 대응을 중심으로 한 환경분야 이슈 중요성 부각이 ESG 등장 배경
• 기본적 건설산업 특성 , 환경규제 , 친환경 건설상품 성장성 등을 감안할 때 ESG 환경분야 중요
• 건설산업은 전 생애주기 기준, 전 세계 온실가스의 약 25%, 이산화탄소의 약 37% 배출
• 생애주기 단계별 탄소배출 비중 고려할 때, 건설자재 내재탄소 감축, 건축물 운영탄소 감축이 중요
• 건설산업 관련 발주기관 , 종합건설업체 등도 ESG 분야 중 환경분야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
• 현재보다 향후에 환경분야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평가
환경 관련 다양한 규범의 변천과 ESG 등장
• 1990 년대 기업의 환경파괴 영향 저감 , ISO14001 도입 통한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등이 이슈
- 건설산업은 건설폐기물 , 자연환경파괴 , 수질오염 , 비산먼지 , 소음 등의 저감이 이슈
• 2000 년대 중반 이후 환경보전 위한 지속가능경영 개념 , 최근 기후위기 대응 위한 ESG 개념 중요성 부각
최근 등장하는 ESG 환경분야 관련 다양한 요구사항
2050 탄소중립 선언 및 시나리오 추진
2016 년 11 월 신기후체제인 파리협정 발효
EU 등 주요국 탄소중립 선언 및 시나리오 발표 (2020~
우리나라 2021 년 10 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발표
건축물 탄소배출 2018 년 대비 88.1% 감축 필요
건축물 에너지효율 향상 : 2050 년 기준 신축건축물 제로에너지 건축물 100%, 기존 건축물 2050 년까지 그린리모델링 추진
시멘트 및 철강산업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자재원가 상승 가능
ESG 및 기후변화 대응 수준 평가기관 등장
ESG 평가 : DJSI, MSCI ESG, 한국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 등
기후변화대응 수준 평가 : CDP, SBTi , 넷제로트렉커 , 서스틴베스트 등
ESG 금융 및 기후 녹색금융 확산
2019 년 12 월 EU Taxonomy 수립, 일본, 중국 , 영국 등도 수립 기후 녹 색금융 확산
2021 년 3 월 EU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 (SFDR) 시행
2020 년 이후 국내외 ESG 투자 및 ESG 채권발행 규모 급속히 증가
Scope 1, 2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
4~6 개 대형 건설기업 목표관리제 대상
2026 년 이후 4 기 배출권거래제 편입 일부 기업 발생 가능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정립 및 적용
2021 년 12 월 한국형 녹 색분류체계 발표 , 시 범 사업
2023 년 한국형 녹 색분류체계 (K Taxonomy) 시행
단기 영향 : 녹색채권, 녹색대출 및 투자 등 녹색금융 확보 기준으로 적용
중장기 영향 : 친환경활동 공시 및 기업평가 기준으로도 적용
향후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이슈 부각
건설공사, 폐기물 비산 소음 , 건설상품 운영단계의 환경 및 생명다양성 훼손 문제 존재
MSCI '탈탄소 이후 핵심 이슈' 지목
2020 년 9 월 TNFD(Task Force on Nature 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자연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 설립
2021 년 5 월 쿤밍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COP15)’ 개최
생물다양성 발자국 (biodiversity footprint) 측정 방법론 개발 중
기후변화 대응 관련 표준 공시기준 마련
기존 GRI, TCFD, SASB 등 존재
2021 년 기후변화 당사국총회 (COP26) 에서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 설립
2023 년 ISSB 의 기후변화 대응 공시 기준 (IFRSS2) 마련 : TCFD 권고안 수용 Scope 1~3 모두 공시 대상
한국회계기준원 산하 KSSB (지속가능성기준 위원회) 설립 및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마련 중
상장 건설기업 공시의무 , 금융조달 , 해외진출에 일정부분 영향
최근 대형 건설사 TCFD 권고안 기초 보고체계 구축 (Scope 3 포함 탄소배출 감축 목표 발표, 일부 대형사 SBTi 기준 의거 지표관리 등 → 향후 상장 건설사 모두 공시의무 발생
글로벌 기준으로 본 ESG 경영 사례집 (tistory.com)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ESG 동향과 시사점 (tistory.com)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tistory.com)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기업 가이드 ESG A to Z (tistory.com)
중소기업 ESG 경영 지원을 위한 ESG 우수사례집 (tistory.com)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 4곳 선정 (0) | 2024.03.29 |
---|---|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발표자료: 3.건설산업의 사회, 거버넌스 분야의 주요 이슈와 대응방향 (2) | 2024.03.28 |
건설산업 ESG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발표자료: 1. ESG 확산을 위한 건설업 ESG 가이드라인 구축방향 (2) | 2024.03.26 |
2024년 적용 건설공사 표준품셈 개정(안) (1) | 2024.03.25 |
일반콘크리트 표준시방서(KCS 14 20 10) 개정(안)과 가이드라인(안) (0) | 2024.03.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