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토교통부 제작 인포그래픽 – 통계로 알아보는 도시계획현황 및 인구 통계

본문

반응형

국토교통부는 2017년부터 국토교통부와 관련된 각종 통계 자료를 한 눈에 이해하기 쉽도록 인포그래픽으로 만들어 배포해오고 있습니다. 월단위로 1~3회 가량 배포하는 것이 보통이며 재미있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그저 재미로 보는 것도 좋지만 각자 업무와 관심 분야라면 직접 인용하거나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정부는 국민을 위해 일합니다. 국민들을 위해 통계 자료를 발표해도 아무도 찾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렵다면 정부는 국민과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 정부는 언젠가부터 전문성을 갖추고 국민들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고, 그 성과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성과란 결국 체계적인 시스템이며, 시스템은 대통령이 바뀌거나, 정치 권력이 바뀌거나, 담당 공무원이 교체되어도 쉽게 바꾸지 못하고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러한 시스템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매뉴얼과 통계 자료입니다. 정책과 시스템으로 인해 통계 자료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과 조직에 따라 달라지지 않도록 매뉴얼을 만드는 작업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리 정부가 바로 매뉴얼과 통계 자료를 쏟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국토교통부가 통계자료를 토대로 만든 인포그래픽을 공유합니다.

 

  • 제목 : 통계로 알아보는 도시계획현황
  • 등록 : 2020. 12. 30
  • 형식 : Image, 인포그래픽 (Infographic)
  • 제작 : 국토교통부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데이터 검색

통합검색

data.molit.go.kr

 

우리나라 인구의 91.8%가 국토의 16.7%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국토 면적의 약 63%가 산으로 구성된 우리나라의 특성 상 당연한 통계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국토면적은 106,286㎢이며, 도시지역이 17,789, 자연환경 보전지역이 11,923, 농림지역이 49,351, 관리지역이 27,223㎢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산림 면적이 국토의 약 63%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는데 산림 면적은 어디에 포함된 통계 데이터인지 조금 이해가 안 되는 통계 자료인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 도시지역 면적을 제외한 카테고리에 골고루 산림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살펴봤듯이 도시지역의 면적은 17,789㎢로 전체 국토 면적의 16.7%를 차지하고 있는데, 다시 도시지역은 주거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상업지역, 미지정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도시지역에도 녹지지역이 포함되어 있었군요. 주거지역과 녹지지역을 제외하면 공업지역의 면적이 1,198㎢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현재 대한민국의 총 인구는 5,182만명이고 이 자료는 국가통계포털 KOSIS의 자료와 일치합니다. 그 중 4,759만명 (91.8%)이 도시지역에서 거주하고, 또 그 중 2,580만명 (54.2%)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시지역이 아닌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는 423만명으로 인구의 10%에 불과합니다.

 

반응형

 

도시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은 70년대에 50%에서 현재 91.8% 가량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결과로 나타나기까지 산업의 변화, 정치의 변화, 사회경제적 변화,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 기술의 발전 등 엄청난 변화를 우리는 몸으로 느껴왔던 것 같습니다. 농사만 짓고는 먹고 살기 힘든데 도시에는 일자리가 있었고 자연스럽게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면서 인구가 많은 도시는 또 다른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바뀌어 왔던 것 같습니다.

 

인구가 도시지역으로 집중되는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닙니다. 전세계적인 현상으로 그나마 아시아는 50% 정도에 불과하고 그 중에서 우리나라는 뉴욕, 파리, 도쿄, 런던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역시 미국과 캐나다가 있는 북미가 82.2%로 가장 높고 남미가 의외로 80.7%로 그 다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는 아프리카와 더불어 아직도 도시 집중도가 낮으며, 이유는 아마도 농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아프리카는 사막과 같은 기후 및 자연환경적인 영향이라고 추측됩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