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심지 붕적층 근접병설 터널 시공사례

본문

반응형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 제목 : 도심지 붕적층 근접병설 터널 시공사례
  • 발행 : 2022. 3. 21
  • 형식 : pdf, 10 page
  • 출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도심지 붕적층 근접병설 터널 시공사례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도심지 붕적층 근접병설 터널 시공사례

www.koreascience.kr

 

 

반응형

 

 

  • 주요내용

최근 국내 교통량 증가 및 고속화로 터널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터널 갱구부 용지매입 및 선형 분리의 어려움과 과도한 환경훼손 등의 이유로 터널 필라폭(Pillar Width, P.W)이 협소한 상황이 다수 발생되어 부득이 2-Arch 터널, 대단면 터널 및 근접 병설터널 형식이 적용되고 있다. 2-Arch 터널은 복잡한 시공공정 및 중앙부 배수성능 저하에 의한 동절기 중앙벽체 변상에 의한 유지관리비용 증대가 발생되며, 대단면 터널은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과도한 공 사비 소요가 문제점으로 제기됨에 따라, 근래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근접 병설터널 형식이 다수 적용되는 상황이다. 기존 근접 병설터널 기술은 협소한 터널 필라부 보강과 복잡한 시공공정으로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과도한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바, 본 고에서는 일반 병설터널과 동일한 시공공정에서 본선터널 지보재(숏크리트 및 강지보)의 지보력을 활용하는 필라부 보강 시스템을 적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근접 병설터널공법(SNT, Smart Narrow-Pillar Tunnel)으로 시공된 사례를 소개하였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