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가철도공단, 선로유지관리지침 개정(안) 신구조문 대비표

본문

반응형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적응을 잘해왔고, 적응하지 못했던 세대들은 은퇴하고 있습니다.

 

10대 후반과 20대 초반에 인터넷과 컴퓨터 혁명을 경험한 세대가 벌써 50대가 되었습니다. 저와 동시대를 살아온 모든 분들이 이뤄낸 성과를 현 세대들이 배우고 경험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 세대가 처음 접하거나 적응하면서 배운 것들의 양도 적지 않았지만, 지금 세대들은 우리 세대가 만들고 경험한 데이터에 새로운 정보들까지 더해서 공부해야 하니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양을 접해야 합니다.

 

요즘 빅데이터, 메가트렌드,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차 산업혁명 등 신기술과 새로운 용어들의 홍수들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잠깐 멈칫 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데이터들에 도태되기 쉽습니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와 같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 홍수와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좀 더 정확하고, 좀 더 차별화되고, 좀 더 수준 높고 전문적인 자료를 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 되어 버린 세상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구글, 다음, 네이버 등의 포털 사이트들은 검색하는 행위와 광고의 노출이라는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뭘 좀 찾으려고 하면 광고만 찾아주거나, 검색어와는 무관한 광고만 검색되기도 하니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어떻게든 검색의 완성도를 높여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싶었습니다.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 제목 : 국가철도공단, 선로유지관리지침 개정(안) 신구조문 대비표
  • 제작 : 등록 : 2022. 6
  • 형식 : pdf, 87 page
  • 출처 : 한국철도협회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https://www.korass.or.kr/kr/board/notice/boardView.do?bbsIdx=1229&fbclid=IwAR1bCW_IuChqr0puxs1hYBENpGj7uod84RxkGVfXaRQUS0G10BAQCCWKyeA

홈페이지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03) 잠시 후 다시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화면으로 홈페이지로

www.korass.or.kr

 

반응형

 

  • 주요내용

개정 사유

- 철도안전법 개정(`19.4.23.)에 따른 관련 법 변경(철도안전법 제25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제19)

 

- 약칭이 아닌 정식 법률명으로 변경(철도건설법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법률)

 

- 타 조항과 표현방식통일(밀리미터 → mm)

 

- 후렌지웨이는 Flange way이므로 영문표기법을 반영하여 플랜지웨이로 표기

 

- 용어 통일(체결구레일체결장치)

 

- 문구 명확화

* 총칭 : 전체를 통틀어서 일컬음

* 총칭하다 : 통틀어서 일컫다

[폭염대비 선로안정성 강화를 위한 기준 개정연구 용역] 반영

 

- 도상횡저항력 기준값을 레일 1, 궤도연장 1m로명확하게 규정

* (참고) 일반적으로 kgf/m는 레일 1, 궤도연장1m로 환산한 값을 의미

 

- 도상횡저항력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방법인 STP방법(Single Tie Push, 체결구가 해체된 침목 1개를 횡방향으로 미는 방법)으로 명시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개정(’20.7.7.) 에 따른 설계속도(350<V≤400)시 캔트값 추가

[국가 R&D(레일결함 진전 예측 모델 및 유지관리기준 개발)] 반영

 

- 선로유지관리지침 제2조에 의하면 본 지침의 적용대상이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로 되어 있으며 제180조에도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에 대한 점검시기 및 방법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고속철도구간만을 한정하는 문구를 삭제 필요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