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엔지니어가 취미로 푸는 수학] 2023년 수능 수학 홀수형 1번 문제 풀이

잡학다식 & 자료 창고

by 그림아이 2022. 11. 19. 08:13

본문

반응형

 

내년이면 한국 나이로 50살이 되는 엔지니어 아저씨입니다. 소싯적에 수학을 참 좋아했었습니다. 덕분에 엔지니어로 살고 있지만 어릴적 꿈이었던 수학 선생님을 못 이룬 것이 평생 한으로 남아 있습니다.

 

수학을 좋아했지만, 그리고 엔지니어로서 수학을 자주 접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수학 이론과 공식들이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옛날 생각도 할겸, 내년이면 중학교에 들어가는 딸 아이와 함께 공부하고 싶어서 미리 예습(?)해두고자 합니다.

 

시험 보듯이 시간 정해두고 하루에 다 풀 생각은 없고, 주말이든 평일이든 시간 날 때마다 한 두문제씩 풀 생각입니다. 프린트해보니 40장이나 되던데 언제 다 풀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수능 보는 날 하루를 위해 몇 년간 공부하느라 수고하신 수험생 여러분들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저는 수능 세대가 아니라 마지막 학력고사 세대로 수능 문제는 조금 낯설 수 있습니다. 요즘은 뭐 그리 선택하는 게 많은지 자신이 선택한 부분만 시험을 치르는 모양이더군요. 저는 다 풀어볼 생각입니다. 배울 때 다 배웠으니까요.

 

매년 수능 문제를 한 번 풀어보겠다고 했다가 바쁘고 귀찮아서 못했는데 이번에는 굳게 마음 먹었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매년 수학 1번 문제는 암산으로 풀어왔는데 이번에도 그렇더군요.

 

1번 문제는 지수의 원리만 알면 쉽습니다. 곱셈에서 지수와 지수는 더해지고, 분모에 있는 지수가 마이너스로 변하는 것, 괄호 밖의 지수와 괄호 안의 지수를 곱하는 것만 알면 쉽습니다.

 

사실 1번 문제이다 보니 괄호 밖의 2 플러스 루트 2만 봐도 괄호 안의 값은 왠지 2 마이너스 루트 2가 될 것 같다는 생각부터 들더군요.

 

하지만 모든 수학 문제들이 그렇듯이 방심하면 실수하게 됩니다.

 

무조건 손으로 써봐야 합니다.

 

수학은 그래야 늡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