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공지능(AI)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 도입
서울시, 인공지능(AI)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 도입
□ 제목 : 서울시, 인공지능(AI)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 도입
□ 보도 : 2024. 3. 14.
□ 형식 : hwp, pdf 8 page
□ 담당 : 서울특별시 재난안전관리실
□ 자료 다운로드 : (자료제공) 서울시, AI기술로 선제적 발견부터 신속 보수까지…포트홀 저감대책 추진
주요 내용
서울시, AI기술로 선제적 발견부터 신속 보수까지…포트홀 저감대책 추진
- 도로 위 버스‧택시 2천대에 '인공지능(AI)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신고보다 빠른 탐지
- 매년 포장상태 전수조사, D‧E등급 정비…최근 3년 평균 530억 투입, 연간 180만㎡ 정비
- 기존 아스팔트보다 내구성 높은 '고강성 포장' 확대 적용…올해 중앙버스정류장 20곳 설치
- 작업량 3배 많은 '포트홀 전문 보수장비' 도입…재료~시공까지 포트홀 저감 연구 지속
- 오세훈 시장 14일(목) 오전 도심 포트홀 발생 현장 찾아 포트홀 대책 및 보수 현장 점검
- “시민들이 도심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발견된 포트홀 빠른 시일 내 바로 처리할 것”
□ 도로포장이 파손돼 움푹 파인 작은 구멍을 뜻하는 포트홀(도로파임)은 봄철 해빙기와 여름철 우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다양한 포트홀 저감 대책으로 2021년부터 서울시의 포트홀 발생 건수는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올해 1~2월의 강수량과 빈도가 이례적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해(강수량 40→94㎜, 강수일 12→20일) 포트홀 발생량도 전년 동월 대비 2배 넘게(3,994→9,124개) 증가했다.
○ 포트홀은 눈‧비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아스팔트 균열 부분에 물기가 스며든 상태에서 반복된 차량 하중으로 포장 일부가 파손돼 발생한다.
○ 최근 10년간 자료를 살펴봤을 때 서울에서는 2020년까지 연평균 3만5천 건의 포트홀이 발생했으나, 2021년 이후부터는 연평균 2만5천 건이 발생하여 감소 추세에 있다. 그간 시는 포트홀 신고시스템('14년), 도로 특성에 맞는 서울형 포장설계법('15년)등 다양한 포트홀 대책을 추진해 왔다.
□ 이에 서울시에서는 포트홀로 인한 불편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도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신속한 발견부터 복구, 새로운 기술과 공법 도입에 이르기까지 실효성 있는 포트홀 저감 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을 도입‧운영해 시민 신고보다 먼저 포트홀을 발견하고, 매년 도로포장상태 전수조사를 통한 선제적 보수로 포트홀 발생을 줄인다.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중심으로 포트홀에 강한 고강성 포장 공법을 확대 도입하고, 전문 보수장비도 새롭게 도입해 신속한 복구를 지원한다.
<도로 위 버스‧택시 2천대에 '인공지능(AI) 포트홀 자동탐지 시스템'…신고보다 빠른 탐지>
<매년 포장상태 전수조사, D‧E등급 정비…최근 3년 평균 530억 투입, 연간 180만㎡ 정비>
<작업량 3배 많은 '포트홀 전문 보수장비' 도입…재료~시공까지 포트홀 저감 연구 지속>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건설회사에서 빅데이터 AI기술 활용방안 (tistory.com)
서울시 인공지능 (AI) 생태계 분석 및 정책방안 (tistory.com)
지능정보산업협회 (AIIA) 2022년도 AI+X Top 100 발표 (tistory.com)
[영어 공부] 이메일 영어 총정리 (Email in English) (tistory.com)
[글 쓰는 엔지니어] ChatGPT와 함께 글쓰기 : 6. AI와 ChatGPT의 윤리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