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 방안 세미나 자료집

본문

반응형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 방안 세미나 자료집

 

□ 제목 :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 방안 세미나 자료집

□ 발표 : 2024. 2. 5.

□ 형식 : pdf 34+27 page

□ 주최: 대한건설정책연구원・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1주제_건설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동향 및 전망(박철한)

1주제_건설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동향 및 전망(박철한).pdf
4.12MB

 

□ 자료 다운로드 : 2주제_건설자재 수급 문제점과 정상화방안(박선구)

2주제_건설자재 수급 문제점과 정상화방안(박선구).pdf
4.05MB

 

건설자재 수급 여건과 정책 개선 방안 세미나 자료집

 

반응형

 

 

주요 내용

 

건설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동향 및 전망

주요 건설자재 시장 동향 및 수요 분석을 통해 향후 중 장기적으로 자재 수급안정에 필요한 정책 방향 모색

•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자재 수급의 안정이 필요
• 건설자재와 관련한 시장 동향 분석과 수요량을 추정 자재 투입 특징 및 수급 불안정 요인 완화를 위한 시사점 도출

 

최근3 년 동안 건설시장은 역대 최고 수준의 인플레이션 발생
건설공사비지수 27.6% 상승 (2020.11~2023.11)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유동성 증가 , 환율 급등 , 러/우 전쟁 , 자원 외교주의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공사비 급등

 

건설용중간재 물가지수 35.6% 증가 (2020.12~ 2023.12)

• 건설용중간재 생산자물가지수보다 동기간 12.2%p 더 상승

 

최근 3 년 철근 , 시멘트 등 자재 수급 난 반복적 발생으로 비용 부담 더욱 심화

• 철근 부족사태 (’20.10~’21.06), 1 차 시멘트 부족 사태 (’22.03~05), 2 차 시멘트 부족사태 (’23.03~05)
• 자재수급난은 자재별 내 외적 복합적 원인

 

기업의 비용적인 측면에서 건설 자재비 비중은 2022 년 31.2% 차지
건설자재비는 2018 년 113.9 조원에서 2022 년 134.9 조원으로 최근 5 년 동안 18.0% 성장

• 자재비의 비중은 건설산업 (31.2%), 종합건설업 (27.4%), 전문건설업 (36.3%)

 

건설자재는 건축 (72.5%), 토목 (27.5%)으로 상대적 건축시장 영향이 커 (약 2.6 배)

• 2019 년 산업연관표 (투입/산출기반 ) 기준 건설자재는 원가의 37.7%, 투입 규모는 103.6 조원 수준
• 공종별 자재시장 규모는 비주거용 건축이 36.1 조원 , 주거용 건축이 33.7 조원 , 건물보수가 6.0 조원 , 토목이 27.0 조원
• 세부 자재별 투입비중은 건축용 금속제품 (11.7%) 이 가장 높으며 , 레미콘 (10.5%), 철근 및 봉강 (6.4%) 순임

 

주요 건설자재 (시멘트 , 레미콘 , 골재 , 철근 ) 공급량 ’17 년 이후 중장기적 감소 추세 (’21 년 소폭 증가했다가 ’22~’23 년 재감소)
  2021년부터 자재가격 크게 상승, 건설자재 수급난 동시 발생

 

2021년 발생한 철근 부족사태는 글로벌 공급망 중단으로 인한 외적인 요인이 결정적

  중국 조강 생산량 전세계 1 위 생산량의 57.6% 차지 , 2 위 인도 의 10 배 이상 생산
  2020년까지 늘려오던 생산 2021 년 인위적으로 감축 → 국내 수입 차질 → 국내 유통상 공급 물량 부족
  급등한 국내 주택착공 (2020 년 분양가상한제 회피 물량 으로 국내 유통상이 공급하는 철근 물량 부족 사태 순차적 발생

 

최근 시멘트 부족 사태는 내외적인 요인이 결합

시멘트 채광 , 조쇄 , 소성 → 클링커 → 시멘트 소성공정에서 필요한 유연탄 75% 러시아산 (2022 년 이전)
1.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발생한 이후 러시아산 유연탄 수입 금지되어 생산에 차질
2. 2023년 봄철 수급난은 적정한 재고 및 생산량을 확보하지 못한 영향

 

(건설투자 추이와 비교한 결과 ) 최근 5 년간 시멘트 , 골재 생산량 감소 추세 심화

• 시멘트는 2010~2017 년까지 건설투자 트랜드에 맞춰 생산하다 이후부터 이전 건설투자 투입 물량의 10~15% 줄여 생산
• 레미콘은 건설투자 트랜드보다 20~30% 높여 생산하다가 최근 들어 건설투자 트렌드에 맞춰 생산
• 골재는 2017 년 이후 건설투자 추이보다 20~30% 낮춰 생산
• 철근 2018 년까지는 건설투자에 맞춰 생산 2019~2020 년 10% 낮춰 생산하다 수급 문제 경험하고 다시 건설투자 추이에 맞춰 생산

 

부동산경기 불확실성 확대 영향 최근 건설투자 예측 어렵고 공사물량 과소 추정 가능성도 높아져

• 건설투자는 대표적 건설경기 동행지표 (GDP 일부 여러 기관 전망 미래 건설경기 예상에 용이)
• 대부분 정부기관 (작년 11 월에) 2023 년 건설투자 +2.7% 전망 , 실제는 +1.4% 에 그쳐 (’23 년 건설투자 예측치 (8~12 월) 최소 0.7 % ~ 최대 2.7% 로 2.0%p 차이)
• 부동산 PF, 미분양 주택 등 부동산 경기 불확실성 확대 등 복합적 요인으로 예측 오차 증가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지하굴착 공사 차량 임시통행 건설자재 관리 투명성 제고방안 (tistory.com)

 

지하굴착 공사 차량 임시통행 건설자재 관리 투명성 제고방안

지하굴착 공사 차량 임시통행 건설자재 관리 투명성 제고방안 □ 제목 : 지하굴착 공사 차량 임시통행 건설자재 관리 투명성 제고방안 □ 발행 : 2022. 10. □ 형식 : pdf 83 page □ 제작 : 국민권익위

studyingengineer.tistory.com

조달청 관급자재 선정제도 전면 개편 (tistory.com)

 

조달청 관급자재 선정제도 전면 개편

조달청 관급자재 선정제도 전면 개편 □ 제목 : 조달청 관급자재 선정제도 전면 개편 □ 보도 : 2023. 6. 22. □ 형식 : pdf 8 page □ 담당 : 조달청 □ 자료 다운로드 : 230622_(보도자료)_관급자재 선정

studyingengineer.tistory.com

22년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유통관리 점검 실시 (tistory.com)

 

22년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유통관리 점검 실시

22년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유통관리 점검 실시 보도 : 2022. 10. 31. 기간 : 2022. 11. 1. ~ 22. 형식 : hwp, pdf 2 page 담당 :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 자료 다운로드 : 221101(석간)_부적합_친환경_건축자재를_

studyingengineer.tistory.com

화재안전 건축자재 품질인정제도 주요 FAQ (tistory.com)

 

화재안전 건축자재 품질인정제도 주요 FAQ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원자재 가격 급등 대응을 위한 계약집행요령 안내 (tistory.com)

 

원자재 가격 급등 대응을 위한 계약집행요령 안내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