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본문

반응형

202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202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제목 : 202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발행 : 2023. 8.

□ 형식 : pdf 784 page

□ 제작 : 국토교통부

□ 자료 다운로드 : 2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_용량축소

2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_용량축소.pdf
12.05MB

 

202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반응형

 

 

주요 내용

 

제1장 국토환경

제1절 자연환경

1. 위치와 영역
우리나라는 유라시아대륙 동단에서 남으로 뻗어 나온 남북길이 약 1,100km (육지부), 동서 평균 폭 약 300km의 반도와 그 부근에 산재하는 3,300여개의 섬(남한)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토의 위치를 경위도로 표현하면 남쪽 끝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 맨 남쪽의 북위 33˚ 06′45″이고, 북쪽 끝은 함북 온성군 유포면 풍서리 맨 북쪽의 북위 43˚ 00′42″이며, 서쪽 끝은 평북 신도군 비단섬 맨 서쪽 동경 124˚ 10′51″이고, 동쪽 끝은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 동도 맨 동쪽의 동경 131˚ 52′22″로서 남북 약 10˚, 동서 약 8˚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2. 12. 31. 남한의 면적은 전년 100,432㎢(’21년 말 기준)에서 11.7㎢ 증가한 100,444㎢(’22년 말 기준)이다. 이는 10년 전 국토에 비해 여의도1)의 88배인 255㎢ 증가한 것이다.


2. 지형
우리나라는 전체 면적의 3/4이 산지로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경동성 지형(傾動性地形)을 이루며, 남한의 태백산맥과 북한의 낭림산맥이 지형의 등줄기를 이루고 있다.


산지는 해발고도 1,000m가 넘는 높은 산이 북쪽과 동쪽에 치우쳐서 지형의 등줄기를 이루어 동쪽으로는 급경사를 이루면서 동해안에 이르지만, 서쪽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서해안에 이른다. 이들 산지는 오랜 동안의 침식에 의하여 북부의 개마고원과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중위면 또는 저위면의 산지지형을 이루고 있다.

하천은 지형관계로 황해 및 남해쪽으로는 큰 하천이 완만히 흐르는데 반하여,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은 길이가 짧은 급류가 많다. 강수량은 여름에 많고 겨울에는 적어 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변화가 세계의 다른 하천에 비하여 큰 편이다. 따라서 수력발전과 각종 용수공급에 불리하여 하천의 중‧상류에 댐을 건설해 생긴 인공호수가 많다.


우리나라의 평야는 화강암 차별침식으로 형성된 낮고 평평한 구릉성 침식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어 도시가 발달하고 있다. 大하천 하구에 생성된 범람원과 넓은 삼각주는 대부분 중요한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평야로는 김포평야, 안성평야, 논산평야, 호남평야, 나주평야, 김해평야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국토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로 동‧서‧남 삼면의 해안은 각각 그 특색을 달리한다. 동해안은 함경산맥과 태백산맥의 급사면이 그대로 해저와 연속되어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단조로우며, 사구(砂丘)와 석호(潟湖)가 발달되어 있고,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반월형의 사빈(沙濱) 해안 등이 동해안을 특징짓는 경관이다.


남해안은 해안선이 매우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남해안에 2,300개 이상의 섬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다도해를 이룬다. 서해는 연안의 해저지형이 비교적 평탄하고 조차(潮差)가 매우 커서 곳곳에 넓은 간석지가 형성되어 있다.


3. 기 후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고,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를 보이며,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다.


기상 요소별로 전국 기상현상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평년값 : 1991∼2020년 평균, 62개 지점 평균) 

 

2022년 우리나라 전국 연평균기온은 12.9℃이며, 평균최고기온은 18.6℃, 평균최저기온은 8.0℃로 전년보다 각각 0.4℃, 0.2℃, 0.6℃ 낮았다. 계절별 특징을 보면 봄철의 전국 평균기온은 13.2℃, 평균최고기온은  19.6℃, 평균 최저기온은 7.0℃, 여름철의 전국 평균기온은 24.5℃, 평균최고기온은 28.8℃, 평균최저기온은 21.0℃, 가을철의 전국 평균기온은 14.8℃, 평균 최고기온은 21.0℃, 평균최저기온은 9.8℃, 겨울철 (2022.12.∼2023.2.)의 전국 평균기온은 0.2℃, 평균최고기온은 5.8℃, 평균최저기온은 –4.8℃ 이었다.(※참고 : 2021년 겨울철 (2021.12.∼2022.2.) 전국 평균기온은 0.3℃, 평균최고기온은 6.0℃, 평균최저기온은 –4.8℃) 전국 월평균기온이 가장 높은 달은 7월로 25.9℃, 가장 추운 달은 12월로 –1.4℃이었다.


전국 평균 연강수량은 1150.4mm로 평년(1331.7mm)대비 86.7%이며, 계절별로는 봄철 평균강수량 154.9mm, 여름철 평균강수량 672.8mm, 가을철 평균강수량 290.9mm, 겨울철 평균강수량 71.6mm이었다(※참고 : 2021년 겨울철 평균강수량 13.3mm). 월강수량은 8월이 305.2mm로 가장 많았고, 1월이 2.6mm로 가장 적었다. 전국 평균 연 강수일수는 90.8일로 월별로는 8월이 16.3일로 가장 많았고 2월과 5월이 3.3일로 가장 적었다.


전국 평균 연일조시간은 2501.1시간이며, 5월이 305.7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8월이 145.1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제2절 인문사회적 환경
1. 인 구
2022년 7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인구는 51,628천 명이며, 그 중 남자 인구는 25,790천 명, 여자 인구는 25,838천 명으로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의 비인 성비는 99.8이다. 인구성장률은 1970년 2.18%에서 계속 낮아져 1985년에는 1% 미만인 0.99%로 낮아졌고, 2022년에는 -0.23%이다.


2022년 우리나라 인구는 인구규모면에서 세계 29위로 세계 인구 79억 8천만 명의 0.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514명/㎢으로 소규모 국가를 제외하면 방글라데시, 대만, 네덜란드에 이어 높은 수준이다.


2022년 인구를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2022년 유소년인구(0-14세)는 5,934천 명(11.5%),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675천 명(71.0%),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8천 명(17.5%)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산연령 인구 1백 명당 유소년인구의 비인 유소년부양비는 16.2, 생산연령인구 1백명당 고령인구의 비인 노년부양비는 24.6이며, 유소년부양비와 노년부양비의 합인 총부양비는 40.8이다.

 

2. 인구의 변화
가. 인구 규모의 변화 추이
2022년 우리나라 인구는 51,628천 명으로 2021년의 51,745천 명보다 117천 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인구는 2020년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70년에는 37,656천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성장률은 1960년대 초반에는 높은 출생률 등의 영향으로 3% 수준을 보였으나, 가족계획 사업의 성공과 경제 성장,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증가 등에 힘입어 1970년에는 2%, 1985년에는 1% 이하 수준까지 낮아졌다.


그 이후 1992~1995년 기간중 연평균 1.0%로 약간 높아졌으나, 1996년 이후 다시 1% 미만으로 다시 낮아져 2022년에는 -0.23%까지 낮아졌다. 인구성장률이 낮아지는 주요 원인은 지속적인 출산력 저하에 기인한 것이다. 1㎢에 몇 명이 사는가를 나타내는 인구밀도는 1970년에 328명/㎢에서 1982년 401명/㎢으로 400명을 넘어섰고, 이후 계속 높아져 2022년 현재 514명/㎢으로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편이다.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2024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편성 방향 (tistory.com)

 

2024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편성 방향

2024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편성 방향 □ 제목 : 2024년 국토교통부 예산안 편성 방향 □ 보도 : 2023. 8. 29. □ 형식 : hwpx, pdf 11 page □ 담당 : 국토교통부 □ 자료 다운로드 : 230829(석간)24년_국토교통부

studyingengineer.tistory.com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개발사업 제도 개선방안 (국토정책 브리핑) (tistory.com)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개발사업 제도 개선방안 (국토정책 브리핑)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개발사업 제도 개선방안 □ 제목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개발사업 제도 개선방안 □ 발행 : 2023. 7. 17. □ 형식 : pdf 8 page □ 제작 : 국토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토교통부 질의회신집 (tistory.com)

 

국토교통부 질의회신집

국토교통부 질의회신집 제목 : 국토교통부 질의회신집 발행 : 2023. 3. 형식 : hwp, pdf 651 page 제작 : 대한주택관리사협회 자료 다운로드 : 최근 5년 국토교통부 분야별 질의 회신2018-2022.pdf 자료 다운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제목 :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보도 : 2023. 4. 27. 형식 : hwp, pdf 4 page 담당 : 국토교통부 자료 다운로드 : 23042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토교통부 철도 분야 전문용어 표준어 일부개정고시 (tistory.com)

 

국토교통부 철도 분야 전문용어 표준어 일부개정고시

국토교통부 철도 분야 전문용어 표준어 일부개정고시 제목 : 국토교통부 철도 분야 전문용어 표준어 일부개정고시 등록 : 2023. 1. 5. 형식 : pdf 10 page 제작 : 국토교통부 자료 다운로드 : 철도_분야_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