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시 중소기업 노동환경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잡학다식 & 자료 창고

by 그림아이 2022. 5. 13. 05:00

본문

반응형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 제목 : 서울시 중소기업 노동환경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 등록 : 2021. 1. 26
  • 형식 : pdf, 21 page
  • 제작 : 서울연구원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서울시 중소기업 노동환경 현황과 정책 개선방안

서울시의 산업재해는 대부분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였다. 서울시는 최근 5년 동안 광역시・도 중 사고사망자가 가장 적지만 사고사망 감소 속도는 가장 더디다.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의

www.si.re.kr

 

 

반응형

 

 

  • 주요내용

서울시의 산업재해는 대부분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였다. 서울시는 최근 5년 동안 광역시 중 사고사망자가 가장 적지만 사고사망 감소 속도는 가장 더디다.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업장 내 안전보건을 위한 자금이나 관련 조직 및 규정을 마련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서울시 중소기업의 노동환경 현황을 진단하고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노동안전보건의 중요성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소규모 사업체와 서비스업은 전국보다 위험노출 정도가 심하고 안전・보건 시스템이 열악

서울시 중소기업은 대체로 반복적 동작이나 고객 상대로 인한 정신적 위험에 취약하였다. 특히, 규모가 작을수록 고객 상대에 따른 정신적 위험정도가 심각하였다. 업종별 특성에 따라 취약한 위험요소도 다르다. 서비스업 부문은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복합적으로 취약하였다. 소매업은 저온 및 감염물질 노출에 취약한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위험요소 전반에 노출되어 있었다. 택배배달업, 청소경비업, 네일미용업은 기계진동저온화학물질 등에 취약하고, 업무에 의한 손상피부 문제가 심각하였다. 한편, 도심제조업은 기계 작업으로 인한 진동소음피해와 반복적 동작에 의한 위험이 주된 요소였다. 사업장 내 안전보건 시스템 상황은 서비스업을 영위하거나 사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의사소통 시스템이 열악하고, 건강문제에 대한 사측 배려가 부족하였다.

 

서울시는 조례 제정 등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에 기여, 소규모 사업체에 대한 노력도 필요

「산업안전보건법」의 전면 개정과 양형기준 강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입법되어 사업주의 산업재해 처벌이 강화되었다. 서울시는 2020년에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최근에 일부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등 산하 기관 및 민간의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사업체는 상대적으로 법과 제도의 강제성이 약하여 노동환경 감시와 개선에 한계가 있다. 안전보건 사각지대에 있는 서울시 소규모 사업체의 노동환경 개선 노력을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소규모 사업체의 자발적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노동안전보건 시스템 구축해야

소규모 사업체는 현행 법제도상 평가 강제와 감시가 어려우므로 소규모 사업체를 포괄하고 규모와 특성을 고려한 노동환경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자발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우수 기업 선정 시 영세소기업을 우선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위험노출 취약 산업에는 예방 교육과 지원 안내를 시행하고, 산재 보상이 어려운 노동자를 위한 산재보호망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노동권익센터의 역할을 확대하여 노동환경 자료수집 시스템을 구축하면 지원시설 수요 탐색으로 정책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