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마트 건설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토공사 부문의 XiteCloud 기술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본문

반응형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 제목 : 스마트 건설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토공사 부문의 XiteCloud 기술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발행 : 2022. 3. 29
  • 형식 : pdf, 9 page
  • 출처 : 건설기술 쌍용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반응형

 

  • 주요내용

한국생산성본부의 산업별 노동생산성 지수를 살펴보면, 2015년을 기준 (100)으로 건설업은 2020 99.2 로서 오히려 하락하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0). 광공업 (117.2), 서비스업 (108.7) 등 대부분의 산업이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 2020년 산업별 산업재해로 인한 노동자의 사망자수는 건설업이 458명으로서 제조업 (201)과 기타 산업 (223)의 합계보다 많다 (통계청, 2021).  건설산업의 주요재해요인은 전도, 협착, 비례, 낙하, 추락 등 후진국형 재해가 대다수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Smart Construction 2025”를 제 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의 비전으로 설정하였다 (국토교통부, 2020). 건설 생산성 25% 이상 향상, 건설 공기 25% 이상 단축 및 건설 재해율 25% 이상 감소 및 건설 생산과정의 디지털화 25% 이상 향상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국내 글로벌 건설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목표이다.

 

첫 번째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계약법, 계약예규 등 법령을 개정하여 공공 공사에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기술형 입찰제도를 활성화하고 있다. 2020년에 총 13 ( 2 837), 2021년 총 39 ( 7 5810)이 적용되었다. 설계 심의에서 전문적인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2020년에는 스마트 건설 전문분과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심의위원회)가 신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두 번째, 정부의 주도로 2020년부터 대규모 스마트 건설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의 실증을 통해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수자원공사의에코델타시티”, LH공사의세종 5-1 생활권”, 한국도로공사의양평-이천 고속도로및 국가철도공단의수원-인덕원 복선전철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세 번째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표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 드론을 활용한 측량에 대한 표준품셈을 제정하였다. 2021년부터는 머신가이던스(Machine Guidance) 에 대한 표준품셈 제정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건설기술이 공사에 적절히 반영되기 위한 표준공사시방서도 작성 배포하고 있다. 2021년 지능형 다짐에 대한 국가표준코드가 배포되었고, LH공사에서는 머신가이던스 표준시방서를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 건설공사는 정부 주도적으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도입 및 활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건설공사의 수많은 공종 가운데 수평적이고 비정형적인 환경으로 공사관리가 가장 어려운 토공사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토공사를 대상으로 한 통합 스마트건설 플랫폼사이트클라우드 (XiteCloud)의 적용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발전방향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