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건설근로자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플랫폼 활용방안

본문

반응형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적응을 잘해왔고, 적응하지 못했던 세대들은 은퇴하고 있습니다.

 

10대 후반과 20대 초반에 인터넷과 컴퓨터 혁명을 경험한 세대가 벌써 50대가 되었습니다. 저와 동시대를 살아온 모든 분들이 이뤄낸 성과를 현 세대들이 배우고 경험하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 세대가 처음 접하거나 적응하면서 배운 것들의 양도 적지 않았지만, 지금 세대들은 우리 세대가 만들고 경험한 데이터에 새로운 정보들까지 더해서 공부해야 하니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양을 접해야 합니다.

 

요즘 빅데이터, 메가트렌드,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차 산업혁명 등 신기술과 새로운 용어들의 홍수들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잠깐 멈칫 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데이터들에 도태되기 쉽습니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와 같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 홍수와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좀 더 정확하고, 좀 더 차별화되고, 좀 더 수준 높고 전문적인 자료를 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 되어 버린 세상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구글, 다음, 네이버 등의 포털 사이트들은 검색하는 행위와 광고의 노출이라는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뭘 좀 찾으려고 하면 광고만 찾아주거나, 검색어와는 무관한 광고만 검색되기도 하니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어떻게든 검색의 완성도를 높여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싶었습니다.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 제목 : 건설근로자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플랫폼 활용방안
  • 발행 : 2022. 5
  • 형식 : pdf, 169 page
  • 제작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 링크 : 원문 다운로드 하기
반응형

 

  • 주요내용

○ 본원적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 중 건설업은 노동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생산활동의 결과인 구조물은 표준화 및 양산체계 적용이 불가능한 특성이 있음

 - 이에 따라 건설업은 생산요소 활용에서 노동의 비중이 높음

 - 생산성 향상을 통한 건설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생산요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반조성이 필요함

 

○ 노동력 수급불일치 해소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플랫폼 활용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플랫폼의 기능은 구인자와 구직자의 정보가 취합되고 활용되는 정보체계라고 할 수 있음

 - 노동력 수급불일치 심화의 요인 가운데는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이 작용하고 있음

 - 플랫폼이 정보체계라는 측면에서 활용을 통해 건설근로자 구인구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일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건설근로자 구인구직 과정에서 플랫폼을 활용해 정보비대칭 해소를 통해 수급불일치를 완화하는 데 필요한 대안제시가 연구의 목적임

 

○ 연구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연구범위를 건설근로자로 한정함

 - 건설기술자와 건설근로자는 직무가 상이하고, 구인 및 구직과정도 차이가 있음

 - 따라서 연구범위를 명확하게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임시ㆍ일용직 고용형태가 일반적인 건설근로자가 연구의 대상임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