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 Part 1. 누수 예방 실무

본문

반응형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 Part 1. 누수 예방 실무

  • 발행 : 2021. 2.
  • 형식 : pdf 118 page
  • 출처 : 한국건설방수학회
  • 자료 다운로드 :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 Part 1. 누수 예방 실무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Par1 누수 예방 실무.pdf
7.31MB

 

  • 주요 내용

1.1 개요
○ 이 “공동주택 지하구조물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표준 매뉴얼”(이하 ‘이 매뉴얼’이라 한다)은 주택법, 공동주택관리법, 건축법,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하는 2종 시설물(16층 이상의 공동주택), 건물관리법 등에서 정하고 있는 「공동 주택」의 지하구조물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으로 활용한다.

 

1.2 목적
○ 이 ‘매뉴얼’은 1.1의 관련법에 의거하여 완공된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기능을 보전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점검·정비하며 경과 기간에 따라 요구되는 개량, 보수, 보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장기적 내구 안전성을 확보하고, 거주자의 편의와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1.3 적용 범위
(1) 이 매뉴얼은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지하주차장의 천장 슬래브, 바닥 및 중간층 슬래브, 외벽, PIT 등)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사항을 규정한다.
(2) 이 매뉴얼은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유지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수록하고 있으며, 정부부처, 공공기관(지자체 포함), 시설물 관리주체(공공/민간), 기타 건설관계자(건축주, 설계사, 종합건설사, 시공사,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업계 등)의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과 유지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안내서로 활용할 수 있다.
① 설계사, 종합건설회사, 시공사, 방수재 제조사,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업계에서 활용
② 도시재생 사업, 장수명 주택 연구, 리모델링 연구 등과 연계하여 활용
③ 초고층 건축물 기타 사회기반시설물의 누수예방 최적화 기술로 활용
(3) 이 매뉴얼에서 제시되지 않은 시방 사항에 대하여는 관련 법규 및 그 밖의 규정(정부 지침, 국가건설기준, 한국산업표준(KS), 기타 인정된 외국기준 등)에 따라 적용한다.

 

1.4 매뉴얼의 구성
○ 이 매뉴얼은 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써 “Part 1, 누수 예방 실무”와 “Part 2, 유지 관리 실무” 및 “부록자료”로 구성된다.
○ 구성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Part 1. 누수 예방 실무
제1장 일반사항
제2장 방수공사의 이해
제3장 지하 구조물에 미치는 열화 환경
제4장 방수공사 하자 및 지하구조물의 누수 유형
제5장 방수공사 시공 전후 실무 체크포인트


Part 2. 유지 관리 실무
제1장 일반사항
제2장 유지관리 계획
제3장 유지관리 점검
제4장 유지관리 진단
제5장 유지관리 보수


■ 부록 자료
부록 1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국토교통부고시 제2020-869호)
부록 2 공동주택관리법(제37조 하자보수 등)
부록 3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부록 4 공동주택 하자의 조사, 보수비용 산정 및 하자판정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58호)


1.5 참고 기준
1.5.1 관련 법규
(1) 주택법
(2)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3) 공동주택관리법
(4) 건축법
(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관리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6) 건축물관리법
(7)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5조 4항
(8) 주차장법 제19조(부설주차장의 설치·지정)


1.5.2 관련 시방서
(1) KCS 41 40 00 방수공사
(2) KCS 41 40 17 누수보수 공사
(3) KCS 41 30 00 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4) KCS 11 44 00 공동구


1.6 용어의 정의
○ 이 지침에 사용되는 주요 용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공동주택 - 건축물의 벽·복도·계단·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고, 각 세대별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의 주택을 말한다.
(2) 지하구조물 - 공동주택에 있어서 흙으로 덮여져 있어 노출이 되지 않는 지하 구조체를 말한다.
(3) 유지관리 - 법령상에서는 완공된 시설물의 기능을 보전하고 시설물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높이기 위하여 시설물을 일상적으로 점검·정비하며 경과 시간에 따라 요구되는 시설물의 개량, 보수, 보강에 필요한 활동을 말한다.
(4) 유지관리 매뉴얼 – 건설 구조물 설계 시 누수를 예방 및 보수를 위한 매뉴얼(안내서)을 말한다.
(5) 지하층 – 바닥면이 지반면보다 아래(지하)에 위치하고 있는 층을 말한다.
(6) 지하수 – 지표면보다 아래(지하)에 존재하는 물을 말한다.
(7) 지하외벽 – 지하의 땅에 접하는 구조체의 벽을 말한다.
(8) 균열 폭 - 콘크리트 표면에서 균열 방향에 직교한 폭을 말한다.
(9) 누수 - 콘크리트 구조체에 존재하는 균열, 폼타이 구멍, 시공조인트, 접합부(연결부), 관통부, 기타 결함부 등을 통하여 구조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물이 통과하는 현상을 말한다.

(10) 보수 - 일상적인 손질 즉 유지로는 감당치 못할 정도로 크게 손상된 시설물을 수리를 통하여 원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11) 복구 - 원상태에서 변형되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시설물을 원형으로 만들어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한다.
(12) 보강 - 파손된 구조물 보수에 있어서 원래의 기능 이상으로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적극적으로 기존 구조물의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행하는 작업을 말한다.
(13) 개량 - 기존 시설물을 현재의 상태보다 양호한 상태로 고친, 사회적, 경제적인 여건 변동으로 인하여 이에 부응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설물의 개조를 말한다.
(14) “기능성”이란 시설물에 요구되는 기능에 관한 제 성능을 말한다.
(15) “내구성”이란 시설물의 성능을 말하며 기능 저하의 시간경과 변화에 저항하는 성능을 말한다.
(16) “내용성”이란 시설물 또는 그 부분이 기능을 지속해서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17) “내하성”이란 부재의 내하력으로 평가하는 시설물의 성능을 말한다.
(18) “내용년수”란 시설물과 부대설비가 건설 후 사용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적인 마모, 기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그 시설물을 이용하는데 안전 및 기능유지가 어려운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19) “이상(異狀)”이란 시설물의 각 부분에 있어 위치, 형상, 구조 등이 정상이 아니어서 제 기능을 발휘하기가 곤란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20) “결함”이란 시설물이 자체적인 변화 또는 외부의 작용에 의해 불완전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21) “점검”이란 시설물의 물리적, 기능적, 환경적 상황을 시설물의 이상에 대하여 신속하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를 말한다.
(22) “수선”이란 노후화된 부재, 부품 혹은 기기 등의 성능을 원상 혹은 사용상 지장이 없는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 단, 보수의 범위에 포함되는 정기적인 부품의 교체 등은 제외 한다.
(23) “개수”란 노후된 건축물 등의 성능, 기능을 초기의 수준 이상으로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24) “중성화”란 콘크리트가 표면으로부터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서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25) “노후화”란 오랜 기간 동안 각종 인위적, 자연적인 원인으로 건축물 전체 또는 일부의 성능이나 기능이 저하하는 것을 말한다.

(26) “열화”란 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 요인으로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말한다.
(27) “열화도”란 부재 및 구조물의 균열에 의해 야기된 성능저하의 정도를 말한다.
(28) “알칼리골재반응”이란 콘크리트의 수산환 알칼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공용액과 알칼리 반응성 골재와의 화학반응으로 실리카 겔이 형성되어 수분을 계속 흡수하여 팽창 균열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29) “염해”란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또는 염분의 침해로 인해 콘크리트가 침식되고 철근의 부식이 발생되어 구조물에 손상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30) “동결융해”란 콘크리트 중의 수분이 0℃이하로 될 때의 동결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며, 장기간에 걸쳐 동결과 융해의 반복에 의해 콘크리트가 서서히 열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31) “균열”이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재료 자체의 내적요인과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 또는 외부환경 등으로 인하여 구조체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 발생되는 미세하게 갈라짐 틈(공간)을 말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