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

본문

반응형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

 

□ 제목 :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

□ 발행 : 2023. 6.

□ 형식 : hwpx, pdf 53 page

□ 제작 : 국토교통부

□ 자료 다운로드 : 제7차_국가공간정보정책_기본계획(최종)

제7차_국가공간정보정책_기본계획(최종).pdf
4.12MB

 

제7차_국가공간정보정책_기본계획(최종)

 

반응형

 

 

주요 내용

 

목차

Ⅰ. 기본계획 개요 및 추진경위

 

Ⅱ. 공간정보 정책의 현 주소

 

Ⅲ. 대내외 환경

 

Ⅳ. 제7차 기본계획 목표 및 주요과제

 

Ⅴ. 과제별 세부내용

1.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체계 마련

2.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자원 유통·활용 활성화

3. 공간정보 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4.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생태계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

 

Ⅵ. 추진체계 및 과제별 담당기관

 

용어 및 약어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R)
⬝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나 속성정보 등을 중첩해 보여주는 기술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확장현실
(Extended Reality, XR)
⬝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술을 망라하는
초실감형 기술 및 서비스
3차원 공간정보 ⬝ 지형을 나타내는 수치표고모형(DEM)과 정사영상(Orthophoto) 및 3D 모델로 구성
⬝ 3D모델은 표현의 상세수준(LOD, Level of Detail)에 따라 0단계
(2차원)에서 4단계(창문과 실내공간)로 표현
디지털트윈
(Digital Twin, DT)
⬝ 건물, 도로 등 현실세계의 객체를 3차원으로 표현하고, 온도∙대기질∙수질 등 물리∙생태 상태에 대한 IoT센싱데이터와 이동∙생산∙소비 등 인문∙사회∙경제 현황 소셜센싱데이터를 융복합한 가상세계
⬝ 현실세계를 모니터링하고 문제점 진단 및 정책대안의 파급효과를 시뮬레이션하여 현실세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디지털 실험실
국가공간정보 기반 디지털 트윈
(National Spatial Data based Digital Twin, NDT)
⬝ 건물, 도로, 산림, 하천, 해양 등의 현실세계를 3차원 공간정보 기반으로 물리∙생태 상태 데이터와 인문∙사회∙경제 현황 데이터를 융복합한 디지털 트윈
건물정보모형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 3차원, 실시간, 동적 모델링을 통해 건물의 생애주기 동안 건물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정보 모델링 프로세스 또는 관련 기술
글로벌 이산격자체계
(Discrete Global Grid Systems, DGGS)
⬝ 지구 표면을 일정한 크기의 다각형, 즉 격자로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표준 공간 참조 체계
Geo-IoT
(Geospatial Internet of Things)
⬝ IoT와 공간정보를 융합하여 현실사물, 공간정보(가상사물), 사람을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위치/공간/센싱 정보를 교환·공유하여 스스로 일을 처리하고 똑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물인터넷
위성항법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 위성에서 발신한 전파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범지구적 측위정보시스템
무선주파수 인식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사물 각각에 고유코드가 있는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무선신호를
통해 사물의 정보를 인식 또는 식별하는 기술
도심항공교통
(Urban Air Mobility, UAM)
⬝ 드론, 로봇택시 등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미래의 도시 교통 체계
메타버스
(Metaverse)
⬝ 초월(Meta)과 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 너머에 있는 세상, 즉 디지털 세상 또는 가상세계를 의미함
⬝ 게임과 같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와 유사한 디지털트윈, 소셜 미디어 등 모든 디지털 세상을 포함
스마트건설 ⬝ BIM, 3D스캐닝, 드론, 로보틱스 등의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건설방식
지오태깅
(Geotagging)
⬝ 메타데이터에 위치정보(좌표)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기술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에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음
 

기본계획 개요

□ (수립배경) 4차산업과 공공정책 및 국민행복의 핵심기반인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생산하고 활용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제시

□ (수립근거)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6조

※ (관련 기본계획)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공간정보산업 진흥법),  국가측량기본계획(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 (수립주기) 매 5년 (7차: ‘23~’27, 6차: ‘18~’22)

□ (주요내용)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6조제2항에 따른 사항

 
 

공간정보 정책의 현 주소

(1) (생산) 양적, 질적 확대했으나 최신성, 융복합 수요에는 미흡

□ (성과) ’95년 이후 지형도, 지적도, 주제도(인구, 기후, 토지이용 등), 지하시설물 등 다양한 공간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

ㅇ 최근에는 공간빅데이터(’14~),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도로지도(’15~), 국토위성영상(’21~), 3차원 공간정보 등으로 지속 확대

 

□ (한계) 공간 기반 다양한 데이터 융복합 활용이 여전히 어려움

ㅇ 고유 식별자, 좌표체계 및 표준화 미흡 등 다양한 원인 존재

* ’22년 실시한 데이터 융복합 활용 관련 설문조사(5점 척도)에서 일반인은 3.5점, 전문가는 2.9점으로 융복합의 용이성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남

 

(2) (유통) 양적인 개방은 증가하였으나 쓸만한 데이터는 부족

□ (성과) 국가공간정보포털(K-Geo플랫폼),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 공간융합 빅데이터플랫폼, 국토정보플랫폼 등 유통채널 다양화

ㅇ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등 240여개 기관이 보유한 공간정보 목록 약 10만 건을 개방(’22, 7월 기준)하고 공개 제한 규제 완화(’21년)

 

□ (한계) 다양한 데이터를 무상제공하고 있으나 유통의 대상, 방법, 변화관리, 정책/거버넌스 등 공간정보 유통 전반에 관한 프레임워크 부재

ㅇ 유통되는 데이터의 양은 많으나 다른 데이터와 연계·융합할 수 있는 쓰기 좋은 데이터는 부족하고, 유통 채널이 분산 운영

* 디지털트윈, 가명정보, 마이위치정보 활용 등 최근 및 미래 트렌드 대응 기반 미비

 

(3) (활용) 민간영역에서는 활발하나 공공분야에서는 저조

□ (성과) 포털, 내비게이션, 공유 자동차‧자전거, 음식배달, 관광, 날씨, 운동,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이 일상화

ㅇ 코로나19 감염병 국가 위기 대응시 공간정보가 중요한 역할 수행

 

□ (한계) 공간정보 품질 한계와 개방 규제로 인해 혁신적인 서비스 창출이 어렵고, 특히 공공부문에서는 정책 결정 시 활용이 미진

ㅇ 공공부문의 활용은 증가하였으나, 근거법 미진으로 실제 정책 의사결정을 위한 상황/지역별 맞춤형 적용은 부족해 정책지원에 한계

* 국토균형발전분석, 입지선정, 경관분석, 도시재생, 기반시설계획 등 국토공간계획을 지원하는 KOPSS(Korea Planning Support System)구축사업을 추진하였으나 활성화되지 못함

 

(4) (산업) 시장규모는 커지고 있으나 융복합 산업 비율 저조

□ (성과) 공간정보산업의 범위와 규모가 확대되어 ’21년 기준 총매출액 10조원 돌파, 최근 10년간 매출액 연평균 7.8%, 종사자 수 5.9% 성장

ㅇ (범위) 위치기반 서비스, 공간정보 플랫폼 산업 포괄

ㅇ (규모) ’13년 첫 조사 이래 10년간 종사자 수 약 2.9만명(연평균 5.9%), 사업체 수 약 1.3천개(연평균 2.9%) 증가, 매출액은 연평균 7.8% 증가

 

□ (한계) 분야 간 융복합 활성화를 통한 혁신 기반 미비, 공공주도형 생태계, 미래 변화에 대한 대응 역량 부족 등 문제 내재

ㅇ 타 분야와 융복합 촉진을 위한 산업, 경계 유연화 등 정책지원 부족

ㅇ 공공발주 사업 중심으로 공간정보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고, 민간영역의 융복합 수요에 대한 대응 부족으로 민간주도 성장 지체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2023 공간정보사업 발주계획 홍보자료 (tistory.com)

 

2023 공간정보사업 발주계획 홍보자료

2023 공간정보사업 발주계획 홍보자료 제목 : 2023 공간정보사업 발주계획 홍보자료 등록 : 2023. 3. 2. 형식 : pdf 51 page 제작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자료 다운로드 : 2023 공간정보 발주예정사업 홍보자

studyingengineer.tistory.com

공간정보 용어사전 (tistory.com)

 

공간정보 용어사전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방치건물정비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 (tistory.com)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방치건물정비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긴급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긴급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tistory.com)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제목 : 국토지리정보원, 정밀도로지도 구축 완료 및 무상 제공 보도 : 2023. 4. 27. 형식 : hwp, pdf 4 page 담당 : 국토교통부 자료 다운로드 : 23042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