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 보도 : 2023. 5. 19.(금)
□ 형식 : pdf 19 page
□ 담당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
□ 제목 다운로드 :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 본격적인 탄소중립 기술개발 청사진 제시
▪ 국내 여건 등을 고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선정(안)’ 확정
▪ 석유화학 · 철강 · 시멘트 분야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발표
▪ 기업 탄소감축 효과를 뒷받침하는 ‘탄소발자국 점검(모니터링) 기술 육성 전략’ 발표
▪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23~‘27)’ 심의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19일(금) 서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 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특별위원회 중 하나로, 국가 탄소중립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탄소중립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10월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 이어 올해 4월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서 탄소중립 분야의 본격적인 기술개발 정책 방향을 발표하였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선정(안),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 – 석유화학·철강·시멘트 분야(안), △디지털 기반 탄소발자국 점검(모니터링) 기술 육성 전략(안),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안) 등 총 4건의 안건을 상정하였다.
【제1호】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선정안 (안)
과학기술 기반의 체계적인 탄소중립 이행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은 범부처 차원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국토면적, 저풍량 환경, 국내 자원 부족 등 지리적 여건과, ▲고탄소 제조업 중심의 국내 산업 구조, ▲국내외 기술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을 선별한 것이다.
100대 기술 선정을 위해 분야별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탄소중립 100대 기술 선정 작업반(산·학·연 전문가 총 233명)’을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탄소중립 세부 후보기술 약 450개 중에서 총 100개 기술을 선정하였다.
이번에 발표하는‘100대 핵심기술’의 주요 특징은 작년 10월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에서 발표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서 기술 간 연계성과 차별성을 고려하여 분류 체계를 보다 합리화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술 수준별로 ▲초격차, ▲신격차, ▲감격차 기술, 기간별로 ▲단기형 (‘30년까지 상용화 목표), ▲중장기형(’30년 이후 상용화 목표) 기술로 구분하는 등 다각적인 분산 투자 전략(포트폴리오)을 마련하여 범부처 차원의 전략적 기술개발 투자 방향을 설계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초격차 기술(9개) :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을 보유하여, 선두를 유지하고 격차를 확대해 나갈 기술
▪ 신격차 기술(39개) :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 초기 단계로, 신시장 창출 · 선점이 가능한 기술
▪ 감격차 기술(52개) : 선도국과 다소 기술 수준 격차가 있어, 격차를 해소해나가야 할 기술
에너지 전환, 산업, 수송·교통, 건물·환경 부문과 관련된 17개 중점 분야를 대상으로 ‘100대 핵심기술’을 선정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❶ 에너지 전환 부문에서는 지리적 여건(좁은 국토면적 등),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고효율화, 대형화 관련 8개 분야 35개 기술을 선정하였다. 태양광·전력저장 등 기존 국내 경쟁력이 높은 분야들은 초격차·신격차
기술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배치하였다. 이외에도, 에너지 안보 등을 고려하여 반드시 기술 내재화가 필요한 감격차 기술도 선정하였다,
▪ (태양광) 초고효율 태양전지 등 초고효율화 관련 3개 기술
▪ (풍력) 초대형 풍력터빈 등 초대형화 · 해상풍력 관련 5개 기술
▪ (수소공급) 수전해 기술, 해외수소 저장·운송 등 수소 공급 전주기 관련 10개 기술
▪ (무탄소 전력공급) 수소 전소 가스터빈 등 분산·유연 발전원 관련 5개 기술
▪ (전력저장) 단주기·장주기 저장시스템, 사용후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스템 등 3개 기술
▪ (전력망) 지능형 송배전 시스템 등 지능형 전력망 관련 3개 기술
▪ (에너지통합시스템) 산업 및 건물에서 활용 가능한 히트펌프 등 3개 기술
▪ (원자력) 선진 원자력 시스템 등 고효율 시스템, 폐기물 관리 등 3개 기술
❷ 산업 부문은 주로 공정과 관련된 분야로서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탈탄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원료 전환·연료 전환 등 전반적인 공정 혁신 기술을 중심으로 5개 분야 44개 기술을 선정
하였다. 철강, 석유화학 등 대부분의 기존 공정에서 대대적 혁신이 요구되는 만큼, 수준별로는 신격차 기술, 기간별로는 중장기형 기술이 주로 선정되었다. 다만,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분야는 국가 탄소배출
감축에 매우 중요하나, 국내 기술이 뒤쳐진 분야로서 기술 내재화를 위한 감격차 기술로 선정하여 빠른 기술 추격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철강) 무탄소 연·원료 적용, 수소환원제철 등 관련 6개 기술
▪ (석유화학) 연·원료 대체, 자원 순환, 신공정 관련 15개 기술
▪ (시멘트) 비탄산염 원료 등 연·원료 대체 관련 5개 기술
▪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탄소 포집·저장·활용 전주기 기술 확보 관련 11개 기술
▪ (산업 일반) 설비 전환·에너지 효율화 등 범용 활용 기술 7개
❸ 수송·교통 부문은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로서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빠르게 고성능의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2개 분야 13개 기술을 선정하였다. 친환경 자동차 분야는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초격차·신격차 기술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다만, 탄소중립 선박 분야는 탄소중립 분야의 기자재 경쟁력이 다소 낮은 점을 고려하여 감격차 기술에 집중하여 신속하게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 (친환경 자동차) 이차전지 시스템, 전기구동 시스템 등 핵심 부품 관련 9개 기술
▪ (탄소중립 선박) 탄소중립 내연기관 등 탄소중립 핵심 기자재 관련 4개 기술
➍ 마지막으로 건물·환경 부문에서는 우리 주거형태 및 도시 환경 적합성, 효율적인 국토 이용 등을 고려하여 2개 분야 8개 기술을 선정하였다. 제로에너지건물 분야는 우리 여건에 맞는 기술 내재화를 위해 감격차
기술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환경 분야는 기술 개발이 시작되는 단계로 신격차 기술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중장기적으로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 (제로에너지건물) 건물신재생에너지시스템 등 에너지저감·신재생에너지 관련 4개 기술
▪ (환경) 바이오·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자원순환, 탄소흡수 관련 4개 기술
탄소 중립 이행을 위한 순환경제 정책 로드맵 연구 (tistory.com)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표준화를 위한 2022년 국가표준시행계획 수립 (tistory.com)
2050 서울시 탄소배출 제로를 위한 비전과 추진전략 (tistory.com)
'탄소중립' 위한 서울시 그린뉴딜 추진현황과 개선과제 (tistory.com)
서울시 온실가스 감축 현황 진단 및 개선 방안 (0) | 2023.09.16 |
---|---|
탄소공간지도 시스템 공개 (0) | 2023.09.10 |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 수립 (2) | 2023.08.31 |
2022 공공기관 ESS 설치의무 이행 우수사례집 (1) | 2023.07.21 |
해상풍력 전력계통 연계 개선을 위한 세미나 발표자료 (0) | 2023.07.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