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 보도 : 2023. 12. 22.
□ 형식 : hwpx, pdf 8 page
□ 담당 : 국토교통부
□ 자료 다운로드 : 231222(석간)_2022년도_주거실태조사_결과(주택정책과)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전국 표본 5.1만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주거실태조사는 국민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표본조사로서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일반가구 조사 결과
ㅇ 자가보유율 61.3% 및 자가점유율 57.5%
ㅇ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 6.3배
ㅇ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월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RIR) 16.0%
ㅇ 생애최초 주택 마련 소요연수 7.4년
ㅇ 평균 거주기간 7.9년, 자가가구는 10.9년, 임차가구는 3.4년
ㅇ ‘내 집을 꼭 보유해야 한다’는 의사 비중 89.6%
ㅇ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 3.9% 및 1인당 주거면적 34.8㎡
□ 특성가구 조사 결과
ㅇ (청년) 자가점유율(13.2%)이 낮고, 전세자금 대출 지원 희망
ㅇ (신혼) 아파트 거주 비율(73.3%)이 높고,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 희망
ㅇ (고령) 대부분 자가(75.0%)에 거주하고,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희망
1. 일반가구
❶ 주거 안정성
□ (자가보유율) ’22년 전국의 ‘자가’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가구 중 61.3%로, ’21년(60.6%)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55.8%), 광역시 등(62.8%)은 전년 대비 상승하였고, 도지역(69.1%)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54.7 → 55.8%, (광역시 등) 62.0 → 62.8%, (도지역) 69.0 → 69.1%
□ (자가점유율) ’22년 전국의 ‘자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 중 57.5%로, ’21년(57.3%)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51.9%)은 전년 대비 상승하였고, 광역시 등(58.7%)은 유사한 수준이며, 도지역(65.6%)은 소폭 감소하였다.
* (수도권) 51.3 → 51.9%, (광역시 등) 58.6 → 58.7%, (도지역) 65.9 → 65.6%
□ (점유형태) ’22년 점유형태는 ‘자가’ 57.5%, ‘임차’ 38.8%, ‘무상’ 3.7%으로, ’21년 대비 자가가구는 증가(57.3→57.5%)하고, 임차가구는 감소(39.0→38.8%)한 것으로 나타났다.
❷ 주거비 부담
□ (PIR) ’22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rice Income Ratio)는 전국 기준 6.3배(중위수)로 ’21년(6.7배) 대비 감소하였다.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9.3배, 광역시 등은 6.8배로, ‘21년 대비 감소하였고, 도지역은 4.3배로 소폭 상승하였다.
* PIR(’21→‘22) : (수도권) 10.1→9.3배, (광역시 등) 7.1→6.8배, (도지역) 4.2→4.3배
** PIR은 생산 기관마다 산정기준이 달라 상이함. 주거실태조사 경우 자가가구의 소득과 주택가격(‘22.6월 셋째 주 기준) 기준으로 표본조사에 응답한 값을 활용
□(RIR) ’22년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ent Income Ratio)은 전국 기준 16.0%(중위수)로, ’21년(15.7%) 대비 증가하였다.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18.3%, 광역시 등은 15.0%, 도지역은 13.0%로,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RIR(’21→‘22) : (수도권) 17.8→18.3%, (광역시 등) 14.4→15.0%, (도지역) 12.6→13.0%
□ (생애최초 주택 마련 소요연수)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는 데 소요된 연수는 ’22년 7.4년으로, ’21년(7.7년) 대비 감소하였다.
❸ 주거수준 및 만족도
□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22년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는 3.9%로, ’21년(4.5%)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인당 주거면적) ’22년 1인당 주거면적은 34.8㎡로, ’21년(33.9㎡)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 ’22년 주택 및 주거환경 만족도는 각각 3.00점, 2.96점으로 ’21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지역별로는 도지역에서 주택 만족도가, 광역시 등에서 주거환경 만족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❹ 주거이동 및 주택 보유의식
□ (평균 거주기간) ’22년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9년으로 나타났다.
ㅇ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6년, 광역시 등은 7.8년, 도지역은 10.0년이며, 자가가구(10.9년)가 임차가구(3.4년)에 비해 오래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거이동률) 현재 주택 거주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는 전체 가구 중 33.7%이며, 자가가구는 18.1%, 임차가구(전세)는 55.1%로 나타났다.
ㅇ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36.8%)에서 광역시 등(33.4%), 도지역(28.9%)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 이동이 잦았다.
□ (이사 이유)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시설이나 설비 상향(48.7%)’, ‘직주근접(30.2%)’, ‘주택마련을 위해(28.8%)’ 순으로 나타났다.
□ (주택보유의식) ’22년 주택보유의식은 89.6%로, 전체 가구 중 대부분이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21년(88.9%)에 비해 증가하였다.
ㅇ 가구 특성별로는 청년 가구는 79.2%(’21년 81.4%), 신혼부부 가구는 92.0%(’21년 90.7%)로, 청년가구의 경우, 주택보유의식 대비 자가 보유율*은 낮아 내 집 마련 지원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22년 자가보유율 : (일반가구) 61.3%, (청년가구) 14.7%, (신혼가구) 49.0%
❺ 정책평가 및 정책수요
□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 전체가구 중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37.6%로,
ㅇ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4.6%)’, ‘전세자금 대출지원(24.6%)’, ‘장기공공 임대주택 공급(11.6%)’, ‘월세보조금 지원(11.5%)’ 등을 응답하였다.
ㅇ 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58.6%)’, 임차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3.5%)’을 가장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응답하였다.
□ (주거지원 프로그램 만족도)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중 96.0%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21년(95.2%) 대비 만족도가 상승하였다.
ㅇ 만족하는 이유로는 ‘저렴한 임대료(50.4%)’, ‘자주 이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38.1%)’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입법예고 (tistory.com)
공유주택 공급을 위한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연구 (tistory.com)
2021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 (tistory.com)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거지원사업 가이드북 (tistory.com)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변화된 주거환경을 고려한 조경계획 방안 연구 (tistory.com)
서울시, 광역버스 정류소 혼잡도 개선 대책 시행 (0) | 2024.08.09 |
---|---|
타임라인 (Timeline)과 멀티버스 (Multiverse)의 차이 (0) | 2024.07.31 |
2023년 주거종합계획 (1) | 2024.04.25 |
인공지능(A.I) 훈민정음 - 대국민 인공지능 가이드북 (2) | 2024.04.24 |
공동주택 전기자동차 화재대응 매뉴얼 및 행동요령 (0) | 2024.04.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