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CSI 자료를 활용한 국내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 발행 : 2023. 12.
□ 형식 : pdf 131 page
□ 저자 : 이지혜·손태홍 연구위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제작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다운로드 링크]
※ 용량 문제로 직접 업로드 하지 못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위에 올려 드리니 직접 방문하여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최근 3년(2020~2022)간 CSI(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설업 사망사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현장의 특징, 사고의 인과관계, 사고사망자 특성 등을 파악하고자 함.
사고사망자 발생 현장의 발주유형, 공사규모, 공종 등 기본적 정보와 사고유형, 사고객체, 주원인유형, 사고원인, 사고유발주체 등 사고 인과 관련 정보, 작업프로세스, 공정률 등 기타 정보와 사고사망자 연령, 내국인/외국인 구분과 같은 사고사망자 관련 정보, 사고계절과 사고시간 등 기타 특성을 기준으로 사고사망자를 구분하여 어떤 경우에 사고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지 분석하고자 함.
- 건설업 사망사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건설업 사망사고 저감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함.
언제, 어떤 특성을 가진 현장에서, 어떤 원인으로, 어떤 종류의 사고가, 어떤 근로자에게 많이 발생하는지 등의 분석을 통해 건설업 사망사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함.
건설업 사망사고에 대한 이해를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건설업 사고사망자 감소대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제2장에서는 최근 3년(2020~2022)간 건설업 사고사망자에 대한 기본적인 분석을 시행함.
1절에서는 사고 현장 관련 기본 정보(발주유형, 공사규모)별, 2절에서는 사고 인과 관련 정보(사고유형, 사고원인, 사고객체, 주원인유형, 사고유발주체)별, 3절에서는 기타 특성 관련 정보(작업프로세스, 공정률, 사고사망자 연령, 내국인/외국인 여부, 사고계절, 사고시간)별 분석을 각각 시행함.
각각의 정보별로 최근 3년간 사고사망자 합계와 연도별 추이도 함께 분석함.
- 발주유형, 공사규모, 공종에 따라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의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 공공공사 현장보다 민간공사 현장에서, 중대형 건설현장보다 소형 건설현장에서 더 많은 사고사망자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음.
전체 사망사고자(739명) 중 민간공사 현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69%인 반면에 공공은 31%임. 공사규모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가 전체 사망사고자의 48%를 차지하며, 3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공사가 32%를 차지함.
위의 결과는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사망자 중 다수가 민간공사 현장, 50억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함.
- 사고유형, 사고원인, 사고객체, 주원인유형, 사고유발주체 등 사고 인과 관련 정보별로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의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사망사고자가 발생한 사고유형 중 1위는 ‘떨어짐’으로 전체의 50%를 차지하며, 2위는 ‘깔림’ 사고로 19%임.
사고원인별로는 ‘작업자의 단순과실’ 비중이 18%로 가장 높았으며, 사고객체별로는 건설기계와 가시설이 각각 23%와 21%를 차지함.
주원인유형별로는 관리적 요인에 따른 사고가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고유발주체는 작업자가 8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작업 중 떨어짐 사고 방지와 건설기계 및 가시설 관련 안전 대책 마련, 그리고 작업자의 단순과실 방지를 위한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함.
- 작업프로세스, 공정률, 연령 등과 같은 기타 특성별로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의 사망사고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작업프로세스 중 사고사망자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은 설치작업으로 전체의 14%를 차지하며, 공정률별로는 10% 미만과 80% 이상의 공정률 구간에서 사고사망자 비중이 높게 나타남. 사고사망자의 연령대는 50대 이상의 비중이 73%에 이름.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사 초기의 가시설물 등과 같은 설치작업과 준공을 앞둔 시점에서 50대 이상의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 확률이 높다는 점은 안전관리의 지속성과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함.
'23년 2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tistory.com)
사망사고 핵심 위험요인 자율점검표 (tistory.com)
2023년 1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 (tistory.com)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대책 수립 (tistory.com)
건물관리업 사망사고 예방, 사고사례 및 예방대책 (tistory.com)
리츠 업무 매뉴얼 (0) | 2024.06.05 |
---|---|
2024 경기도 건설안전 가이드라인 (1) | 2024.06.04 |
일괄·대안·기술제안 등 기술형 입찰 설계심의 및 운영 표준안 (0) | 2024.06.02 |
2024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고시 (0) | 2024.06.01 |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질의답변 (1) | 2024.05.3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