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24년 주택시장 전망과 정책방향
□ 발행 : 2023. 12.
□ 형식 : pdf 28 page
□ 제작 : 주택산업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주산연_2024년 주택시장전망_보고서
ㅇ (경제성장률) 코로나 종식에 따른 서비스 소비 급증, 미국발 금융불안이 진정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선진국의 통화긴축 및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며,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1.4%로 예측됨(IMF, KDI).
ㅇ (금리) 미국은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였으며, 현재 5.5%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음. 한국은 1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동결하여, ‘23년 12월 현재 기준금리는 3.5%를 유지하고 있음.
수요ㆍ공급
ㅇ (가구수 추이) 총 인구수는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가 시작됐으나, 가구수는 증가하고 있음. 주택시장에 진입하는 30세 인구 74만명, 가구증가, 노후 및 멸실주택, 생애주기에 따른 교체수요 등 주택수요는 지속적으로
발생 예상
ㅇ (주택공급 추이) ‘23년 1∼10월 동안 인허가 27.4만호, 착공 14.2만호, 분양 (아파트) 15.8만호, 준공 27.1만호 기록.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6.0%(↓), △57.2%(↓), △44.7%(↓), △18.5%(↓)로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물량 모두 큰 폭으로 감소
ㅇ 수급진단 주택시장 활동인구가 ( ) 증가하면서 수요가 증가한 반면,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공급물량이 감소하면서 전국 수급지수는 여전히 100을 하회하며 공급부족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 권역별로는 수도권, 지방광역시, 기타지방 모두 공급부족상황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지방광역시, 기타지방 순으로 공급부족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남.
ㆍ지방광역시 젓 대구(105.2)는 올해 공급량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급과잉 지역으로 나타난 반면, 서울(61.5)의 공급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됨.
※ 수요=가구증가+멸실+빈집, 매매시장 공급=아파트(분양물량)+기타주택(준공물량(다가구 가구수 기준))
주택거래
ㅇ (주택매매거래)‘23년 1~10월까지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47.2만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4.8%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최근 5년(‘18~22년) 평균 수준(89만건)에는 못 미치며 주택 구매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봄.
- 주택매매거래량은 1월을 저점으로 2월부터 거래량이 증가하였으나 9월부터 특례보금자리론(일반형)이 젓단되면서 매매거래량이 주춤하는 모습
주택가격
ㅇ 주택매매가격은 2022년 하반기부터 하락세로 전환되면서 2023년 상반기에도 하락세가 지속됨. 하락폭이 점차 축소되면서 하반기부터 전국적으로 상승세로 전환하였으나, ’23년 10월까지 주택매매가격 누적변동률은 모든 지역에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 ’23년 10월까지의 전국 주택매매가격 누적변동률은 3.5% 로 나타났으며, 지방광역시 5.5%, 수도권 3.5%, 기타지방 2.2%로 지방광역시의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 주택매매가격의 하락은 특히 지방광역시 아파트를 젓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부산과 대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7.9%를 기록하며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2023년 주택시장 진단
ㅇ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주택가격 하락세는 올해 상반기에 하락폭이 둔화되면서 하반기에 상승세로 전환됨. 그러나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 저성장의 복합위기가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2023년 주택시장은 전
국적으로 하락
- 서울을 젓심으로 한 수급불균형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침체와 금융 규제로 인한 하방압력이 가격하락을 불러옴.
ㅇ 올해 1~10월까지 인허가 27.4만호, 착공 14.2만호, 분양(아파트) 15.8만호, 준공 27.1만호로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6.0%, 57.2%, 44.7%, 18.5% 감소하며 신규 주택 공급을 위한 물량이 크게 감소함.
ㅇ 공급여건이 악화되면서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이 위축된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부는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9.26 대책)」을 통해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급 활성화 계획을 제시함.
- 공공주택 공급물량 확대, 민간 주택공급 활성화,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한 금융지원(PF 대출 보증 확대, 젓도금 대출 지원) 등 정책 실시
ㅇ 정부는 민간의 적체된 인허가·착공 대기 물량을 조속히 재개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나,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공급실적이 지속된다면 공급부족으로 인한 시장 불안의 우려가 예상
2023년도 부동산 각종규제 및 세법 1장 정리 (tistory.com)
일제 강점기 일본인 소유 부동산 국유화 성과 (tistory.com)
건설동향브리핑 902호: 브릿지론 중심, 부동산 PF 부실 가능성 점차 현실화 (tistory.com)
OECD 글로벌 부동산 통계지도를 통해 전 세계 집값 변동 현황 알아보기 (tistory.com)
서울시 펀디자인 시설물 설치 계획 (0) | 2024.07.10 |
---|---|
2024년 엔지니어링 상반기 수주 실적 (0) | 2024.07.09 |
서울시 체불예방 특별점검반 운영 (0) | 2024.07.08 |
2023 엔지니어링 산업백서 (0) | 2024.07.07 |
안전디자인 사인시스템 가이드라인 (0) | 2024.07.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