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24일 월요일 오후 6시 31분경
우리 동네에서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관련기사 링크]
https://v.daum.net/v/20250325100308025
40m지하서 휴대전화 찾았는데…싱크홀 빠진 30대 남성 14시간 넘게 매몰 상태
서울 강동구 도로 한복판에 직경 20m가량 땅 꺼짐(싱크홀) 사고로 매몰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아직 구조되지 못했다. 소방 당국은 25일 오전 7시부터 구조활동을 재개했다. 김창섭 강동소방서
v.daum.net
5호선 고덕역 인근이고 9호선 지하철 공사 구간입니다.
공사는 일부 끝난 모양인데 상수도관 파열로 발생한 듯 합니다.
싱크홀 주변 상가 및 아파트와 주택들은 단전과 단수로 고통받고 있다고 하네요.
무엇보다 제 딸이 탄 학원차가 싱크홀 발생 한시간 전에 이곳을 통과했다고 합니다.
진짜 큰일날 뻔 했습니다. ㅠㅠ
민원을 뭉갠 인재라고 봐야 되나요? ㅠㅠ
어쨌든 동네 주민으로서, 그리고 하필 야메 토목 엔지니어로서 한마디 하자면…
석회 지질이 없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의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의 원인은 거의 대부분 상하수도관의 파열입니다.
그 중에서도 유량과 압력이 센 상수도관의 파열이 순식간에 지반을 액상화 (liquefaction)시켜 아스팔트와 기층 재료가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되니 무너지는 겁니다.
누군가는 상수도관이 파열되면 물을 어떻게 막냐고 묻던데, 상수도 시스템은 분기점이나 중요한 지점마다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가까운 밸브를 찾아 잠그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인근 지역도 단수 될 수 있지만 할 수 없죠.
그럼 “땅 속에 있는 멀쩡한 상수도관은 왜 파열 되느냐” 그게 문제의 핵심입니다.
보통 노후한 상수관이 균열이나 연결부가 느슨해져 누수가 시간이 갈수록 커지면서 생길 수도 있는데, 이번 사고는 지하철 공사라는 특수한 환경이어서 의심해볼만 합니다.
지하철 공사를 위해 도로부를 철거하고 가설 철판 위를 차량이 달리다가 다시 도로로 복구하기도 합니다만, 상하수도관이 거미줄처럼 지나가는 도로부라면 존치하고 터널로 뚫습니다.
이때 터널부 시공에 의한 부등침하가 발생하여 상수도관이 파열되었을 수도 있고, 시공 중 진동에 의한 국부적인 액상화가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저처럼 야메 토목 엔지니어 말고 전문가들의 철저한 원인 조사가 있겠지만, 인근 주유소 사장님이 도로 균열 등의 징후를 미리 포착할 정도였다면, 그리고 지하에서 여전히 지하철 터널 공사가 진행 중이라면 지하철 공사가 원인이라고 의심하는 것이 지극히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9호선 공사는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는 TBM 공법의 가장 유명한 단점이 상부 지반의 부등침하이므로 지속적으로 shotcrete로 보강하며 전진해야 하고 계측을 의무화 하는 등의 보완이 필수적입니다.
만약 지하철 공사가 원인이 아니라면 싱크홀에 의한 인명과 재산 피해는 누가 보상해야 하나요? 국가? 시청? 구청?
여기서부터는 문과의 영역이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
동네 주민으로서 한마디 끄적거려 봤습니다.
[참고]
싱크홀 (Sinkhole)에 대한 모든 것 - https://studyingengineer.tistory.com/m/182
싱크홀 (Sinkhole)에 대한 모든 것
2012년 도화엔지니어링 근무 당시 사내 게시판에 썼던 글을 공유합니다. 당시 싱크홀 문제가 우리나라에서도 생기기 시작했고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어 언론에서 다루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러
studyingengineer.tistory.com
[엔지니어링 업계 동향] 요즘 공대생들의 취업과 엔지니어링 업계에 대한 생각 (0) | 2025.01.23 |
---|---|
2024년 엔지니어링 수주 실적 순위 (0) | 2025.01.08 |
202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4) | 2024.09.23 |
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라인 (1) | 2024.09.21 |
2024년 지하안전 통합교육 교육자료 (1) | 2024.09.2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