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람과 정치 권력이 바뀔 때마다 행정부처의 명칭과 조직 구성이 크게 바뀌기도 합니다. 바뀔 때마다 가져올 혼란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분쟁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일도 누군가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 소중한 자료들이 보고서, 매뉴얼, 가이드라인, 보도자료, 설계 및 시공 기준, 사례집 등의 형식으로 일반인들에게 배포되거나 발간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렵게 만든 자료들을 찾는 일도 분명 쉽지 않은 일입니다. 누군가 자신의 자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어렵게 만든 소중한 자료들을 또 누군가 자신의 일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 다니는 수고로움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에 대비하여 한국은 통합적 위기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평시에 대중국 관련 정보 수집과 공유 및 역할 인식 부여를 위한 다층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한다. 위기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의사결정과 통합적 관리 중심으로 운영 모드를 전환시킨다. 다층 협의체가 구성되면, 갈등 발생 가능 이슈를 선정하여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한다. 특히, 경제보복 피해 가능 산업을 선별하고, 중국의 위기관리 패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중국 문화 요인을 고려한 다층 소통 채널을 확보하고, 이슈별 마지노선 설정 및 ‘채찍용’ 협상 카드를 마련한다.
중국의 경제보복은 경제적 타격이 아니라 정치적 ‘길들이기’가 목적
프랑스・노르웨이 양국과의 분쟁 과정에서 중국은 경제적 타격이 아닌 정치적 압박에 중점을 둔 경제보복 조치를 취한다. 경제보복 전, 정치・외교적 수단으로 사태의 심각성을 경고함과 동시에 정책 전환을 요구하였다. 경제보복 방식으로는 금수조치와 금융제재보다 ‘보이콧’을 선호하였다. 이는 자국의 경제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 단기적이고 제한적인 특징과도 직결된다. 이와 함께, 사태가 변질되는 것을 우려하여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서만 국내시위를 허용하는 모습도 보였다. 눈여겨볼 특징은 특정 정치・외교적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 경제보복을 지속하였다는 점이다.
프랑스는 대중국 ‘체면외교’, 노르웨이는 전방위 ‘압박외교’ 구사
프랑스는 중국의 문화 특색을 반영한 외교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친다. 주요 특징으로 신속히 고위급 인사를 파견하였고, ‘꽌시’를 활용하여 소통 채널을 확보하였다. 다자무대를 협상 장소로 활용하여 정치적 리스크를 완화시키고, 중국의 ‘체면’을 존중하는 의사결정으로 협상의 여지를 지속적으로 열어두는 모습도 보였다. 이에 반해, 노르웨이는 상대적으로 ‘맞대응’ 전략과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사용하는 압박외교를 구사한다. 중국 문화재를 반환함으로써 중국인의 감성을 촉발하는 문화외교를 펼쳤지만, 국가이익에 반하는 요구에 대해서는 단호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층 거버넌스 기반의 통합적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과 압박외교 카드 마련 필요
중국의 경제보복에 대비하여 평시 모드에서 위기 모드로 전환 가능한 다층 거버넌스 기반의 통합적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다층 거버넌스 틀 내에서 ① 갈등 발생 가능 이슈에 대한 연구와 ② 다층 소통 채널 확보 및 ‘채찍용’ 카드 마련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자와 관련해서 중국의 위기관리 특징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대외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협상력 제고를 위해 합의에 의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민간 간 명확한 역할 분담은 매우 중요하다.
첨단기술 보조장비를 활용한 복지서비스 고도화 방안 (0) | 2022.04.24 |
---|---|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2년 주요 경제 이슈 (0) | 2022.04.23 |
'순환도시 서울'로 전환하기 위한 재사용 활성화 정책 방안 (0) | 2022.04.21 |
서울-평양 하계올림픽 공동유치 전략 (0) | 2022.04.20 |
생애최초 자가소유 지원정책의 체계화방향 (0) | 2022.04.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