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조사결과 발표
□ 보도 : 2023. 7. 5.
□ 형식 : hwpx, pdf 10 page
□ 담당 : 국토교통부
□ 자료 다운로드 : 230705(석간)_인천_아파트_지하주차장_붕괴사고_조사결과(건설안전과)
-사조위 사고조사 결과 전단보강근 누락, 콘크리트 강도 부족 등 원인 지목
-국토부, 사고현장 특별점검 시 안전·품질관리 미흡 등 다수 지적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인천 검단 아파트 건설현장의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관련하여 건설사고조사위원회(5.9.~7.1.)의 사고조사 결과와 사고현장 특별점검(5.2.~5.11.) 결과를 공개하였다.
* ’23.4.29(토) 23:25경 지하 주차장 슬래브가 붕괴 (지하 1~2층 약 1,289m2, 인명피해 없음)
□건설사고조사위원회(위원장: 호서대 홍건호 교수, 이하 사조위)는 사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①설계·감리·시공 등 부실로 인한 전단보강근의 미설치, ②붕괴구간 콘크리트 강도부족 등 품질관리 미흡, ③공사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을 적게 고려한 것을 주요 사고원인으로 지목하였다.
ㅇ 사조위는 이에 대한 재발방지대책으로 ①무량판 구조의 심의절차 강화 및 전문가 참여 확대, ②레미콘 품질관리 및 현장 콘크리트 품질 개선, ③검측절차 강화 및 관련 기준의 연계·보완을 제안하였다.
ㅇ 사조위 홍건호 위원장은 “최종보고서는 조사결과 등을 정리·보완하여 7월 중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이며, 조사보고서가 향후 유사사고 재발방지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국토부 누리집(www.molit.go.kr)과 건설안전 종합정보망(www.csi.go.kr)을 통해 공개 예정
□특별점검단(단장: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건설안전국장)은 ①정기 안전점검 미실시, 안전관리비의 용도와 다른 사용 등 안전관리 미흡사항, ②품질관리계획 미흡 등 품질관리 미흡, ③구조계산서와 설계도면의 불일치, 설계와 다른 시공 등 설계·시공·감리 단계의 미흡사항을 지적하였다.
□ 국토교통부 김규철 기술안전정책관은 “특별점검 시 지적내용과 사조위에서 규명된 원인조사 결과를 토대로 위법 사항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에 엄정한 조치를 요구하고, 재발방지대책도 조속히 마련하여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 사고조사위원회 개요
□ (구성)면밀한 사고원인 분석을 위해 건축구조・건축시공・법률 등 관련 분야 전문가 12명으로 구성
ㅇ(기간) ‘23. 5. 9(화) ~ 7. 1(토) (54일간)
ㅇ(조사)도서검토, 현장 조사, 관계자 청문 및 시편 채취를 통한 재료강도시험, 구조해석을 통한 붕괴 시뮬레이션 등 분석·검증절차 진행
2. 붕괴사고 발생 원인
(전단보강근 미설치) 설계·감리·시공 등 부실로 보강근 미설치
ㅇ(설계) 붕괴가 발생한 지하주차장 슬래브 인근의 도면을 분석한 결과, 구조설계 상 모든 기둥(32개소)에 전단보강근이 필요하나, 기둥 15개소가 전단보강근 미적용 기둥으로 표기
ㅇ(감리) 철근작업상세도(Shop Drawing) 작성(시공사) 후 도면의 확인·승인하는 과정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함
ㅇ(시공) 32개소 중 붕괴된 위치 등 확인이 불가한 기둥을 제외하고8개소 조사 결과 4개소에서 설계와 다르게 전단보강근을 누락
(콘크리트 품질 미흡) 사고구간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 사고부위(A-3구간)에서 설계기준 강도(24MPa)의 85%(20.4MPa)보다 낮게 측정(16.9MPa)
* KCS 14 20 10(일반콘크리트) 3.5.5.7 코어공시체는 콘크리트 강도의 85%를 상회해야 함
(추가하중 검토 미흡) 식재공사 과정에서 설계값(높이 1.1m)보다 많은 토사가 적재(최대 2.1m)되며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짐
(구조물 분석 결과) ∼의 영향을 고려한 분석 결과 붕괴구간 인근 기둥 32개소 중 11개소는 전단강도 부족, 9개소는 휨강도 부족 확인, 이중 7개소는 전단강도 부족, 휨강도 부족이 동시 발생
- 특히, 전단강도가 부족한 기둥 11개소에 전단보강근이 있을 경우 모두 전단강도가 확보됨을 확인
3. 사조위 권고 재발방지대책
(구조적 안전 확보) 특수구조 건축물에 무량판 구조를 추가하는 등 심의절차를 강화하고, 설계도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기술사의 확인절차 도입 등 전문가 참여 확대 필요
(시공품질 측면) 레미콘 등 구조재료에 대한 철저한 품질관리와 현장의 콘크리트 품질 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
*품질관리자 겸직금지 강화, 현장양생 공시체 시험기준 마련, 서중콘크리트 관리강화 등
(공사관리 측면) 무량판 구조의 검측절차 강화* 및 검측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한 체계적 공사관리, 건축설계기준과 조경기준 등 관련 기준간의 연계
*검측 시 동영상 촬영대상에 무량판 구조 추가 등
붕괴된 보강토 옹벽의 복구 사례 (tistory.com)
데크플레이트 붕괴 사고 유형 및 대책 (tistory.com)
2022년 건설사고 정보 리포트 (tistory.com)
2023년 1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 (tistory.com)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2 (0) | 2023.07.09 |
---|---|
서울시 투자심사 경제성 분석 가이드라인 연구(1~5권) 개정2판 (0) | 2023.07.08 |
주택건설공사 감리업무수행절차서(2023 개정판) (0) | 2023.07.06 |
서울시 방음벽 디자인 가이드라인 (0) | 2023.07.05 |
2023년 재난안전기술평가 매뉴얼 (0) | 2023.07.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