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제36회 한국부동산정책학회 정책학술세미나 발표자료
1.빅데이터와 딥러닝을 활용한 인구변화 모니터링(이보경)
2.도시 내 상업지역 숙박시설의 용도 불일치에 관한 연구(박동하)
3.스마트 축소와 생활 SOC 복합화(남지현)
4.미국 리츠 수익률 변동성 결정 요인분석(윤만식)
5.자영업자 가구의 특성이 가처분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김상목)
6.스마트시티 리빙랩 관련 연구동향 탐색(김도균)
□ 발표 : 2023. 6. 10.
□ 형식 : pdf 249 page
□ 주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자료 다운로드 : 한국부동산정책학회_학술대회_총 발표자료집(용량축소)
피할 수 없는 인구규모 감소와 인구구조 (연령 )의 변화 !
• 인구는 도시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서 , 가까운 미래에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지방 도시 소멸과 광역시 구도심 지역의 쇠퇴 위험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중
인구감소 적응과 대응을 위한 정부 지원 (예산 )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지만 ...
• 급격한 인구변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소멸과 낙후 위험이 큰 지자체를 선별하여 지원
• 지역의 현황을 진단 ·평가하고 선별하여 지원하는 일련의 과정이 시·군·구와 같은 행정구역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지자체 안에서도 공간별 인구 변화 상황은 다양
• 피할 수 없는 인구 규모와 구조 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체감할 수 있는) 공간 수준에서 장래 인구를 전망해야함
- 소지역단위의 인구예측 정보를 통해 실제 인구가 감소하는 지자체 대상 장소기반 ·증거기반의 정책 개입이 가능
- 제3기 인구정책 TF 에서도 “통계청이 생산한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된 통계를 격자 (格子 )단위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정밀한 융·복합 데이터 생산”할 필요성이 대두 (관계부처 합동 ,2021 .1.27 .)
- 현재 인구감소 관련 지수에서 사용하고 있는 회고적인 지표가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우리 생활공간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전망하기 위해 소지역단위 인구예측이 필요
감소 시대에 지속가능한지속가능한국토정책 수립을 위해 인구감소추세를인구감소추세를반영한 현장밀착형현장밀착형공간 계획의 중요성 대두
• 체감형 계획과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소지역단위 인구변화와 장래인구 전망 정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표적인 장래인구 전망치인 통계청 장래인구는 전국 및 시도 단위로 추계하는 실정
- 시도 또는 시군구 단위의 장래인구 데이터를 통해서는 지자체 내 인구 규모 및 구조 변화의 불균등성을 파악할 수 없음
‘공간 ’의 관점에서 격자별 장래인구를 예측하기 위해서 …
• 인구변화는 출생 및 사망으로 인한 자연적 증감과 전입/전출로 인한 사회적 증감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 따라서 소지역단위 공간의 관점에서 인구를 예측할 때 출생 및 사망으로 인한 자연적 증감뿐 아니라 공간의 특성 변화 에 따른 사회적 증감 관계를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모델을 개발해야함
• 소지역단위 인구예측모델은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특정 공간이 인구거주지역에서 무거주지역으로 변하거나 또 는 무거주지역에서 거주지역으로 변하는 것을 고려해야함. 이것이 전국 또는 행정구역별 인구예측 모델과 격자 체계를 이용한 소지역단위 인구예측 모델의 가장 큰 차이라고 볼 수 있음
건설동향브리핑 902호: 브릿지론 중심, 부동산 PF 부실 가능성 점차 현실화 (tistory.com)
OECD 글로벌 부동산 통계지도를 통해 전 세계 집값 변동 현황 알아보기 (tistory.com)
2023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연차보고서 (tistory.com)
인공지능(A.I) 훈민정음 - 대국민 인공지능 가이드북 (0) | 2024.04.14 |
---|---|
서울시 주유소 복합화 서비스 실증 (0) | 2024.04.01 |
서울의 아름다운 봄꽃길 173선 (0) | 2024.03.29 |
제20대 대통령선거 대비 정책이슈 키워드에 관한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1) | 2024.02.29 |
재산세 제도개선 방안 (0) | 2024.02.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