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본문

반응형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 제목 :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 발행 : 2019. 1.

□ 형식 : pdf 271 page

□ 제작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자료 다운로드 :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용량축소).pdf
10.77MB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매뉴얼 : 저수호안 및 하상보호기술의 설계 및 시공

 

반응형

 

주요 내용

 

제1장 서론

1.1 관련 법과 규정

본 호안보호 및 구조물 하부 하상보호기술과 관련된 법 규정은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에 관한 통합지침 (국토교통부, 2009) : 6.6 하도안정화 설계, 6.8 서식처 설계
(2) 하천설계기준․해설 (국토교통부, 2016) : 24장 하천호안, 28장 보
(3) 하천공사표준시방서 (국토교통부, 2007) : 5장 호안, 7장 하상유지시설, 8장 보 바닥보호공, 16장 자연형하천공사

 

1.2 호안
1.2.1 호안의 정의
∘ 제방 또는 제외지 비탈면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직접 보호하기 위해 제방 앞비탈에 설치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1.2.2 호안의 구조
∘ 호안은 호안머리보호공, 비탈덮기, 비탈멈춤, 밑다짐으로 구성된다.

 

1.2.3 호안의 위치별 종류
∘ 고수호안은 하천이 복단면일 경우 고수부지 위의 앞비탈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다.
∘ 저수호안은 저수로에 발생하는 난류를 방지하고 고수부지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로의 하안에 설치하며, 일반적으로 홍수시에는 수중에 잠기므로 세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 제방호안은 단단면하도인 경우, 혹은 복단면하도에서 고수부 폭이 좁고, 제방과 저수로 하안을 일체로 해서 보호해야 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 고수호안과 저수호안이 일체화된 것을 말한다.

 

1.2.4 하천설계기준 상 호안
∘ 하천설계기준 “설계편 제 24장 호안” 개정(안)에는 상기 1.2 호안에 대한 제시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1.3 하상보호공
1.3.1 하상보호공의 정의
∘ 하상경사를 완화시켜 하상을 유지하고 하천의 종단과 횡단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을 통칭하여 말한다.
1.3.2 하상보호시설의 종류
∘ 하상유지시설은 낙차의 크고 작음에 따라 낙차공과 대공으로 분류하며, 일반적으로 본체공, 물받이공, 바닥보호공, 연결옹벽 및 연결호안공, 고수부지보호공으로 구성된다.

∘ 낙차공은 낙차가 큰 (보통 50 cm이상) 하상유지시설을 말한다.
∘ 대공은 낙차가 없거나 매우 작은 (보통 50 cm미만) 하상유지시설을 말한다.
∘ 바닥보호공은 보 본체 물받이공에 연속되어 유속을 약화시켜 하상의 세굴을 방지하고 보의 본체 및 물받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 바닥보호공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재료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 사석, 돌망태 등이 있다.
∘ 바닥보호공은 가능하면 조도가 다른 2종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유속을 서서히 감소시켜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3 하천설계기준 상 바닥보호공
∘ 하천설계기준 “설계편 제 28장 보” 개정(안)에는 상기 1.3 바닥보호공에 대한 제시와 더불어 다음과 같은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제2장 하천시설관리와 자연친화적 소재 활용기술

1. 개발의 필요성
1.1 호안
1.1.1 호안의 파괴 형상
∘ 호안 파괴 유형은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① 하상 세굴로 기초부 유출
② 뒷 채움재 유출에 의한 연결체 부분의 휨 현상
③ 제방 후면부 유출에 의한 블록 군체 이탈
④ 사면부 블록의 개체 이탈/유출
⑤ 제방부 파이핑 현상에 의한 블록 군체 이탈

 

1.1.2 호안 조성의 문제점
∘ 자연친화적 하천관리 지침 (2006)에서는 하천의 치수적 안전성을 확보하며 생물의 생태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자연소재를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 그러나 하천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자연석의 과도한 활용으로 인공하천 조성 및 2차적 환경파괴 초래
- 자중에 의한 시공으로 홍수시 포락 및 유실 발생
- 자연소재 틈새를 몰탈 처리로 생물서식공간 훼손 초래
- 목재의 경우 내구성에 대한 문제 제기
∘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제품화된 공법을 적용할때에는 기초부에 미끄럼방지공을 반드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증가하여 시공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만약, 비탈멈춤공 (근고공)을 하지 않고 자중에 의한 시공을 할 경우, 홍수시 세굴 (찰쌓기 뒷채움재의 유출 등)에 의한 석재의 분리/이탈/포락 등이 발생하여 호안이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 또한, 호안조성시 토사유출 방지를 위한 차수시트를 반드시 설치하여야하는데, 이는 식생의 뿌리가 제방토체로 이어지지 못함으로 인하여 식생이 제대로 자랄 수 없고 호안식생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또한, 수리적인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하천관리자들이 믿고 사용할 만한 신뢰할 수 있는 기술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1.2 하상보호공
1.2.1 하상보호공 (바닥보호공) 파괴의 원인
∘ 물받이공에 의하여 월류하는 부분의 세굴은 막을 수 있으나 물받이공 하류부에서 발생하는 하상세굴은 돌망태나 사석 등 굴요성을 가진 소재를 활용하여 세굴시 자중에 의하여 침하되어 세굴을 막도록 설계되어 있다.
∘ 그러나 재료간 공극이 크기 때문에 공극사이로 침입한 유수에너지를 저감시키지 못하여 지속적인 세굴이 발생하여 초기에는 사석이나 돌망태가 포락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굴요성 소재가 이탈함으로 인하여 하상을 보호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 이러한 바닥보호공의 훼손은 구조물 하부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하여 횡단구조물 안쪽으로 침식이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현재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석재 (사석, 돌망태), 콘크리트, 콘크리트블록으로 활용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들 사석과 돌망태는 공극에 의한 침식시 굴요성에 의하여 포락을 일정정도 허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 그러나 이러한 굴요성은 홍수시 자중에 의하여 한시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근본적인 세굴을 억제/방어할 수는 없다.
∘ 따라서 이러한 홍수 세굴에 의한 하상을 보호하기위해서는 유수의 에너지를 저감시켜 하상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1.2.2 국외 관련 기준 (일본)
가. 설치목적
∘ 보에서 방류된 유수를 감세시키고 하류하도의 하상재료에 적합한 유속에 조절함으로써 하류하상의 세굴을 방지한다.
∘ 보와 물받이공, 하상의 조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 경계부근에서 점이부(漸移部)를 설치하여 와류를 억제하여 하상세굴을 방지한다.
∘ 취수보나 낙차시설에서 과도하게 발생된 유수력을 Pool을 통해 저감시켜 하류측 호안 또는 하안부에 안정된 흐름을 유도 할 수 있어야 한다.
나. 바닥보호공의 길이 산정
∘ 보가 비교적 소규모이고 수리조건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 (수리공식)으로 처리한다.
∘ 유황/세굴 시뮬레이션 방법을 수리모형실험과 병행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상세굴 수치 시뮬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점성토와 사질토에 대하여 수행).
∘ 예측된 세굴상황 및 하상토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바닥보호공의 규모 및 공법을 결정한다.
다. 감세지 설치
∘ 보에서 방류된 유수의 수세가 강하여 일반 바닥보호공에서 대응할 수 없을 경우 감세지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는 물받이 시설의 위치에 설치한다.
∘ 감세지의 깊이는 최대 수위차의 20%로 한다.
∘ 감세지의 길이는 20-25m 정도로 한다.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제주도 하천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모색 (tistory.com)

 

제주도 하천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모색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studyingengineer.tistory.com

하천유역의 자연성 회복과 관리방안 발표자료 (tistory.com)

 

하천유역의 자연성 회복과 관리방안 발표자료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studyingengineer.tistory.com

제주형 친환경 하천정비 방안 모색 (tistory.com)

 

제주형 친환경 하천정비 방안 모색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서울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발표 (tistory.com)

 

서울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발표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서울시 인공지능 (AI) 생태계 분석 및 정책방안 (tistory.com)

 

서울시 인공지능 (AI) 생태계 분석 및 정책방안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