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년 건설경기 전망

본문

반응형

2024년 건설경기 전망

 

□ 제목 : 2024년 건설경기 전망

발행 : 2023. 11

형식 : pdf 72 page

제작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자료 다운로드 : 통계보고서-2024년 건설경기 전망

 

통계보고서-2024년 건설경기 전망

 

반응형

 

 

주요 내용

 

요약

○ 본고에서는 건설산업 주요 지표의 동향과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2024년 건설경기 전망을 제시함
- 건설경기 전망은 GDP 구성요소인 건설투자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중소건설업체가 다수를 차지하는 전문건설업 시장 역시 도급별(원·하도급) 계약액을 추정
- 전망의 방법은 시계열모형을 통해 전망치를 도출한 이후 모형에 포함하기 어려운 정량·정성적 요인을 고려하여 조정하는 방식으로 작성
- 데이터 속성(월/분기/연) 및 다중공선성 문제 등으로 포함하지 못한 변수와 정책 변수, 대내·외 환경 등을 별도로 고려하였으며, 전문건설업 전망은 모형 이외에 원·하도급, 선·후행, 건축·토목 등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정


○ 2023년 들어 건설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건설수주, 건축허가, 착공, 분양 등 거의 모든 지표가 역대급으로 부진한 상황임
- 2023년 3분기 전년동기대비 기준, 건설수주 -26%, 허가 -25.9%, 착공 –40.4%로 감소폭이 유례가 없는 상황임. 또한, 세부적으로 건설수주와 건축허가는 4분기 연속 감소, 건축착공은 7분기 연속 감소, 분양물량 역시 2022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건설기성만이 증가세를 보이는데 이는 2021년까지 증가한 착공물량의 시차효과이며, 2022년 부터 건설 선행지표 부진이 본격화되었다는 측면에서 2024년 이후 건설경기는 지금보다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
- 전체적으로 건설 선행지표가 부진하며, 마감공사 등 일부 공종을 제외하면 건설공사 물량 자체도 크게 줄어든 상황으로 평가


○ 2023년 전문건설업 계약액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나, 세부 업종별로는 건설생산 프로세스에 따라 계약액 증감이 상이한 것으로 보임
- 건축착공물량 감소의 시차효과가 업종별로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2023년에는 토공 등 선행 공종은 부진하나, 금속창호, 실내건축 등 후행공종은 양호한 것으로 예상
- 다만, 시차효과에 따라 전문건설업은 2024년에는 골조 공종, 2025년에는 마감 공종으로 부정적 영향이 파급될 것으로 판단


○ 2024년 건설경기는 금융시장 여건 개선, 건설 인플레이션 안정화 여부 등이 중요하며, 선행지표 악화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건설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건설시장 향방을 가르는 중요한 Key Point가 될 것으로 예상함

 

○ 향후 건설경기는 부정적 요인이 지속된다는 측면에서, 2024년 건설투자는 2023년 대비 2.4% 감소한 257조원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2022년 이후 부진했던 건설 선행지표의 시차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판단
- 여기에 금융시장 불안, 생산요소 수급 차질, 공사비 상승 등 부정적 요인이 부각될 경우 건설경기 침체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상존
- 향후 건설경기는 2024~2025년 사이 저점에서 회복세로 전환을 예상하며, 건설물량의 시차 효과로 인해 선행 공종은 2024년 저점, 후행 공종은 2025년이 저점일 것으로 판단
- 건설경기 회복세를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완화, 금융환경 개선 등 거시경제 환경이 중요


○ 2024년 전문건설업 계약액은 2023년 대비 3.2% 감소한 119.2조원으로 전망함
- 전반적인 건설경기 부진에 따라 전문건설업 계약액 역시 감소할 것으로 판단
- 도급별로는 민간 건축분야의 부진이 공공에 비해 클 것으로 예상되어 원도급보다 하도급의 부진이 클 것으로 예상
- 2023년의 경우 전문건설업 선행 공종이 부진했다면, 2024년에는 철근·콘크리트를 중심으로 골조 공종의 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한편, 전문건설업 계약액은 중장기적으로 횡보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향후 건설경기가 부진하더라도 공사비 상승에 따라 계약금액 자체는 유지될 가능성이 존재


○ 거시 및 정책 환경변화에 따라 건설업의 불확실성이 커져 정부의 정책지원과 관심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임
- 특히, 건설시공의 주체인 전문건설업의 경우 생산체계 개편의 부정적 영향과 더불어 공사비 상승으로 인해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
- 결과적으로 건설산업 내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도권 기업과 지방 기업의 양극화는 심화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
-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중소·전문건설업을 위한 맞춤형 대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


○ 2024년 건설경기는 올해보다 크게 악화될 가능성이 커져 개별 기업 입장에서는 리스크 관리 중심의 경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함
- 단기적으로 건설경기 침체에 따라 위험관리를 경영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재무 건전성 강화를 위해 저가수주를 지양하는 등의 전략을 마련
- 내실 경영을 추구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비도 중요
- 구체적으로 산업혁명 요소기술, 디지털 전환, ESG 대비 등 건설시장의 메가트렌드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금리인상의 주택건설에 대한 영향과 향후 전망 (tistory.com)

 

금리인상의 주택건설에 대한 영향과 향후 전망

금리인상의 주택건설에 대한 영향과 향후 전망 □ 제목 : 금리인상의 주택건설에 대한 영향과 향후 전망 (KDI 경제전망 2023 상반기) □ 등록 : 2023. 5. 2. □ 형식 : pdf 9 page □ 제작 : KDI □ 자료 다운

studyingengineer.tistory.com

일본의 인구구조 문제 대응 전략과 전망 (tistory.com)

 

일본의 인구구조 문제 대응 전략과 전망

일본의 인구구조 문제 대응 전략과 전망 발표 : 2022. 10. 24. 형식 : pdf 35 page 주관 : 국회입법조사처 자료 다운로드 : 221024 간담회_일본의 인구구조 문제 대응 전략과 전망 주요 내용 소자고령화(少

studyingengineer.tistory.com

건설동향브리핑 제886호 -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과 건설투자 동향 (tistory.com)

 

건설동향브리핑 제886호 - 건설근로자 수급 전망과 건설투자 동향

건설동향브리핑 제886호 발행 : 2022. 12. 16. 형식 : pdf 12 page 제작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료 다운로드 : 건설동향브리핑 886호 주요 내용 2022∼2024 지역별 건설근로자 수급전망 - 외국인 도입 규제

studyingengineer.tistory.com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 (tistory.com)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 발행 : 2022. 10. 형식 : pdf 제작 : 국회예산정책처 자료 다운로드 : 2023년_및_중기_경제전망 구성 Ⅰ(지출부문) - 130 page Ⅱ(성장및금융부문) - 111 page Ⅲ (생산부문) - 129 page IV

studyingengineer.tistory.com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과 경제·사회 미래전망 (tistory.com)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과 경제·사회 미래전망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