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청년 등 독신가구용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 발표자료
□ 발표 : 2023. 12. 6.
□ 형식 : pdf 42 page
□ 제작 : 주택산업연구원
□ 자료 다운로드 : 주산연1206_청년 등 독신자용 주택공급 활성화방안_자료집_최종
✓ 1인가구란 11인이 독립된 주거공간을 점유하여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가구
✓ 1인가구는 구성원의 연령대에 따라 특성이 상이하여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구분
• 청년층 : 20·30대
(※ 청년층 정의 : 서울시 청년기본조례 및 LH 주거복지사업 청년입주자격 19 ~ 39세 등)
• 중장년층 : 40·50대
• 노년층 : 60대 이상
✓‘22년 11인가구는 약 750만으로, 전체 가구 2,177만의 34.5% 를 차지
• ‘30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40% 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 2인가구에 비해 1인가구 비율이 더 크게 증가
• 가구당 평균 가구원수는 ‘90년 3.7명 → ‘15년 2.5명 → ‘22년 2.2명으로 지속 감소
• ‘15년 이후 2인가구는 연평균 3.3% 증가한 반면, 1인가구는 연평균 5.4% (33만가구 증가)
• 특히 주택 가격이 급등한 ‘20년, ‘21년은 가구분화가 심하여 1인가구가 연간 약 8% 씩 증가
✓1인가구는 수도권과 지방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
• 수도권 ‘15년 239만 → ‘22년 358만, 지방 ‘15년 282만 →‘22년 393만
• ‘15 ~ ‘22년 기간 중 수도권은 49.8%, 지방은 39.4% 증가
• 지방에서도 광역시는 ‘15 ~ ‘22년 기간 중 42.1%, 도지역은 37.7% 증가
✓1인가구는 지방에 더 많이 거주하고 있지만 수도권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수도권 ‘15년 45.8% → ‘22년 47.6%, 지방 ‘15년 54.1% → ‘22년 52.4%
✓1인가구 중 노년층 비중 증가
• ‘22년 전체 1인가구 중 30대 이하 청년층은 36.5%, 60대 이상 노년층은 35.3%
• 전체 1인가구 중 청년층 비중은 ‘15년 이후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노년층 비중은 크게 증가
✓ 청년층은 수도권, 노년층은 지방에 집중
• 30대 이하 청년층의 약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 (20대 이하 52.8%, 30대 57.7%)
• 반면, 60대 이상 노년층의 60.2% 는 지방에 거주
✓ ‘22년 말 전체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약 246.6만명
• ‘16년부터 ‘22년까지 매년 평균 3.1%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다가 이후 ‘22년 다시 증가
• 2~3년 내에 30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
✓ 청년층은 자발적요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은 비자발적 요인 영향
• 청년층의 경우 직장 또는 학교와 같은 자발적 이유
•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경우 배우자의 이혼, 별거, 사별과 같은 비자발적 이유가 1인가구 증가에 주된 영향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도 1인가구 증가에 한 몫
✓평균 초혼 연령 지속적으로 상승
• 평균 초혼 연령은 ‘15년 31.3세 → ‘22년 32.5세로 상승
✓ 연평균 이혼 건수 10만 건 이상
• ‘15년~ ‘22년 연평균 이혼 건 수는 약 10.5만건
✓ 5년간 30대 기혼자 19.3% 감소
• ‘20년 전체 30대 인구 중 기혼자 54.9% 로 ‘15년 대비 19.3% 감소
✓ ‘15년 이후 65세 이상 노년층 및 독거노인 지속 증가
• ‘15년 이후 65세 이상 노년층 인구 연평균 증가율 4.7%, 독거노인 연평균 증가율 7.1%
공유주택 공급을 위한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연구 (tistory.com)
지속가능한 생활SOC 공급을 위한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tistory.com)
공동주택 세대내 전기설비 및 소방시설 점검 유의 사항 및 점검가이드 (tistory.com)
건축행정 데이터 기반 재해 취약 지하층 주택 현황 분석 (tistory.com)
서울시 24년 제1차 재개발 후보지 선정 (0) | 2024.06.19 |
---|---|
건축물 해체계획서 검토 사례집 (0) | 2024.06.18 |
스마트 안전기술 현장 적용 매뉴얼 (1) | 2024.06.16 |
가설건축물 제도 운영 현안과 제도 개선 과제 (0) | 2024.06.15 |
주택공급 확대 및 건설경기 보완방안 (0) | 2024.06.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