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

본문

반응형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

 

□ 제목 :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

□ 발행 : 2023. 4.

□ 형식 : pdf 144 page

□ 제작 : 창원시 건축안전센터

□ 자료 다운로드 :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1

□ 자료 다운로드 :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2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2.pdf
14.45MB

자료 다운로드 : 소규모공사현장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소규모공사현장 안전점검 체크리스트.hwp
0.07MB

 

소규모안전관리계획 매뉴얼

 

반응형

 

주요 내용

 

목차

제1장 일반사항

1. 개요

2. 소규모 안전관리 계획서 수립 대상

3. 시행근거

4.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확인 및 제출

 

제2장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기준

1. 비계 종류별 이론

2. 공사 개요

3. 비계 설치계획

4. 안전시설물 설치계획

 

제3장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예시

1.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예시

 

부록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 강관비계 작업점검 체크리스트

- 시스템비계 작업점검 체크리스트

- 작업장 현장점검 체크리스트

- 안전난간 점검 체크리스트

- 낙하물방지망 및 방호선반 점검 체크리스트

- 추락방호망, 수직형추락방망, 수직보호망 점검 체크리스트

- 개구부 보호덮개 점검 체크리스트

 

안전점검 체크리스트

〈 강관비계 〉

○ : 우수 △: 보통 × :미흡 해당없음

구분 평가문항 점검결과 비고





강관비계 1. 비계 기둥(1.85m이하), 띠장(2m이하) 등 부재의 설치간격은 적정한가?

2. 비계 벽 이음은 전용 철물로 가로 5m,세로5m 이내로 설치하였는가?

3. 비계작업발판 상부에 적재하중 비계 기둥 간 400kgf 이내로 적재하였는가?

4. 비계 작업발판 상·하 간 이동을 위한 승강설비는 설치하였는가?

5. 높이31m초과 시 브래킷을 설치하거나 비계 기둥을 2본으로 보강하였는가?

6. 비계 기둥 하부에 침하 방지조치 (다짐,버림콘크리트 타설 등)를 하였는가?

7.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였는가?

8. 작업발판의 폭은 40cm이상 확보하고, 2곳 이상 고정하였는가?

9. 비계 주변에 고압선이 있는 경우 최소이격거리(3m이상)를 유지하거나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였는가?

10. 비계 설치·해체 작업 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하는가?

 

〈 시스템비계 〉

구분 평가문항 점검결과 비고





시스템
비계
1. 시스템비계 수직재, 수평재, 가새의 간격은 적정한가?

2. 벽 이음은 전용 철물로 기준에 따라 설치하였는가?
(기준이 없는 경우 수평방향 5m이내, 수직방향 5m이내)


3. 작업발판 상부에 자재를 최대적재하중 이내로 적재하였는가?

4. 작업발판 상하 간 이동을 위한 승강설비는 설치하였는가?

5. 구조안전성 검토 후 작성한 조립도에 따라 설치하였는가?

6. 수직재 기둥 하부에 침하 방지조치(다짐,버림 콘크리트 타설 등)를 하였는가?

7.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였는가?

8. 작업발판의 폭은 40cm이상 확보하고, 2곳 이상 고정하였는가?

9. 시스템비계 주변에 고압선이 있는 경우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였는가?

10. 시스템비계 설치·해체 작업 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하는가?

 
 

〈 작업장 현장 〉

구분 평가문항 점검결과 비고


작업장
현장점검
1. 가설 경사로 및 가설계단 등 가설통로 단부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였는가?

2. 가설 경사로(경사15°초과)에 미끄러짐막이를 설치하였는가?

3. 이동식 사다리 상단의 걸쳐 놓은 높이는 60cm이상 확보하였는가?

4. 사다리의 답단 간격은 일정하게 30cm 이내인가?

5. 사다리식 통로의 기울기는 75°이내인가?

6. 고정식 사다리식 통로의 높이가 7m 이상인 경우 바닥에서 높이가 2.5m되는 지점부터 등받이울을 설치하였는가?

7. 통로의 경사가 30~60°인 경우 가설통로를 계단으로 설치하였는가?

8. 가설계단 및 계단참의 강도는 500kgf/㎡이상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인가?

9. 가설계단의 지지구조가 앵커인 경우 구조를 검토한 설계도면에 따라 정밀하게 시공하였는가?

10. 철골 승강용 트랩에는 수직구명줄을 설치하고, 안전대를 부착한 상태로 이동하는가?

 

〈 안전난간 〉

구분 평가문항 점검결과 비고
안전난간 1. 상부난간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2. 상부난간대는 바닥면으로부터 90~120cm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가?

3. 발끝막이판은 바닥면으로부터 10cm이상 높이를 유지하고 있는가?

4.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오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보호망이 설치되어 있는가?

5. 안전난간 기둥은 상부 및 중간 난간대를 견고하게 떠받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가?

6.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는 난간 길이 전체에 걸쳐 바닥면과 평행한가?

7. 안전난간은 지름 2.7cm이상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로 설치하였는가?

8. 안전난간은 100kgf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로 설치하였는가?

9. 안전난간에 기대거나 밟고 올라서서 작업을 하지는 않는가?

10. 안전난간 설치 또는 햐체 작업 시 반드시 안전모,안전대를 착용하는가?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한눈에 알아보는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리플릿 (tistory.com)

 

한눈에 알아보는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리플릿

한눈에 알아보는 건설현장 소방안전관리자 리플릿 등록 : 2022. 11 형식 : pdf 2 page 제작 : 한국소방안전원 자료 다운로드 : 붙임_소방안전관리자 리플렛 주요 내용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

studyingengineer.tistory.com

안전관리 현실화를 위한 안전비용 설계적용방안 검토 (tistory.com)

 

안전관리 현실화를 위한 안전비용 설계적용방안 검토

안전관리 현실화를 위한 안전비용 설계적용방안 검토 등록 : 2022. 4 형식 : pdf, 24 page 제작 : 한국도로공사 설계처 출처 : 2021년 고속도로 설계 실무자료집(2022) 자료 다운로드 : 안전관리 현실화를

studyingengineer.tistory.com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안전관리 진단 매뉴얼 (tistory.com)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중소기업 안전관리 진단 매뉴얼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studyingengineer.tistory.com

건설공사 참여자 안전관리 역량 강화 (tistory.com)

 

건설공사 참여자 안전관리 역량 강화

우리 국민 대부분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20~30년 전에 비하면 국민들의 의식 수준과 학력이 높아졌고, 각자 자리에서의 전문성도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

studyingengineer.tistory.com

고소작업대 안전관리 매뉴얼 (tistory.com)

 

고소작업대 안전관리 매뉴얼

세상은 참 빠르게 돌아갑니다. 많은 사람들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합니다.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연구소, 협회 및 학회 등 모두가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담당하는 사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