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

에너지 & 전력시장

by 그림아이 2023. 10. 24. 02:00

본문

반응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

 

□ 제목 :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

□ 발표 : 2023. 8. 3.

□ 형식 : pdf 32 page

□ 제작 : 산업통상자원부

□ 자료 다운로드 : 230803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지자체 설명회)

230803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지자체 설명회).pdf
5.24MB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진행 경과 및 제도 개요

 

반응형

 

 

주요 내용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배경

-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망 회피 : 대규모 발전소와 장거리 송전망 건설을 통한 공급 체계는 한계에 봉착하였으며 낮은 주민수용성으로 사회적 갈등, 막대한 보상 등 경제적 비용 발생

 

- 지역내 생산, 소비 : 지역 내에서 생산, 소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지역에너지시스템) 활성화 필요

· 전력 직접거래 활성화, ICT 기술 활용하는 VPP 등을 활용하여 계통안정화도 도모

· 지역별 전력자립률 평준화 : 국가 전체에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전력수급 기반 마련 가능

 

- 에너지 공급체계의 저탄소화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중앙집중식 공급방식에서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에너지 공급체계의 저탄소화도 필요

 

우리나라 전력수급 특징

- 육지 단일망 체제로 계통유연성이 상대적으로 취약

· 전력수요의 수도권 집중으로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과 수도권 내 공급능력 확충이 필요한 상황

· 10차 장기송변전계획에서 21년부터 36년까지 송전선로 22,491C-km 증설, 변전설비 168,920MVA 확충 계획

· 향후 간선 전력망 지속 구축과 더불어 분산화 정책 병행으로 대규모 송전망 최소화 필요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과제

- 2021년 기준 총 발전량 대비 태양광, 풍력 등 변동성 재생에너지원의 발전비중은 약 5.2%에 불과하지만,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에는 도전적인 과제 야기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 (VPP) 사업자 등록

- 다수의 발전사업자가 소규모로 산재하여 급전지시 없이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계통 불안정 초래

· 소규모 분산에너지를 통합하여 전력시장에 입찰, 참여하는 분산에너지 통합발전소 (VPP) 제도 마련

 

 

참고할만한 다른 자료들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공기업, 공공기관, 발전자회사, 유관기관 홈페이지 및 연락처 정보 모음 (tistory.com)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공기업, 공공기관, 발전자회사, 유관기관 홈페이지 및 연락처 정보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무를 하다 보면 공기업, 공공기관, 발전자회사 등과 각종 관련 기관들과 연락할 일이 참 많습니다. 인허가 과정, SMP 및 REC 업무, 사업 진행 관련 협의 업무가 매우

studyingengineer.tistory.com

한 권으로 끝내는 RPS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 (tistory.com)

 

한 권으로 끝내는 RPS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

한 권으로 끝내는 RPS 발행 : 2022. 10. 형식 : pdf 122 page 제작 : 한국에너지공단 자료 다운로드 : 221031_한 권으로 끝내는 RPS (※ 용량이 커서 부득이하게 3개로 쪼개서 업로드 합니다) 주요 내용 신·재

studyingengineer.tistory.com

신재생에너지의 장점을 극대화 한 VPP의 장점과 단점 (tistory.com)

 

신재생에너지의 장점을 극대화 한 VPP의 장점과 단점

먼저 밝혀둘 것은 아래 이미지는 일본의 자료를 참고로 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좋은 자료가 많지만 아무래도 저작권 문제가 있어 함부로 가져다 쓸 수가 없어 일본의 자료들 중 저작권 문제가

studyingengineer.tistory.com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자원지도 (tistory.com)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자원지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에서 공개한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태양광) 자원지도를 공유합니다. 원시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확인해보면 2013년 일사량 데이터를 기준으로

studyingengineer.tistory.com

태양광 팩트체크, 태양광에 대한 오해와 진실 5부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팩트체크 총정리) (tistory.com)

 

태양광 팩트체크, 태양광에 대한 오해와 진실 5부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 팩트체크 총정리)

다시 한 번 말씀 드리지만, 뉴스톱의 선정수, 김준일, 송영훈 팩트체커라는 분의 연재 기사를 토대로 작성할 것이며, 지금까지 제가 본 수많은 논문, 기사, 칼럼, 보고서 중 가장 완벽한 내용이라

studyingengineer.tistory.com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